SK하이닉스가 내년까지 D램 호황의 수혜를 봐 영업이익이 크게 늘어날 것으로 예상됐다.

하지만 아직 낸드플래시 기술경쟁력을 시장에서 충분히 검증받지 못해 기업가치에 부정적 영향을 받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SK하이닉스 D램 호황 지속, 낸드플래시 경쟁력 확보 서둘러야

▲ 박성욱 SK하이닉스 부회장.


김운호 IBK증권 연구원은 22일 “SK하이닉스는 내년에도 D램 수요증가에 따른 호황이 계속되며 실적 성장세를 이어갈 것”이라고 내다봤다.

SK하이닉스는 내년에 연결기준으로 매출 37조5천억 원, 영업이익 17조 원을 볼 것으로 추정됐다. 올해 실적전망치보다 매출은 25%, 영업이익은 26% 각각 늘어나는 것이다.

글로벌시장에서 서버용 D램의 강력한 수요가 메모리반도체 호황기를 계속 이끄는 가운데 모바일 D램도 한동안 공급부족이 지속되며 실적상승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됐다.

하지만 새 성장동력으로 꼽히는 낸드플래시는 여전히 사업전망이 불안하다는 평가가 나온다. 업황악화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고 SK하이닉스의 경쟁력도 약한 편이기 때문이다.

김 연구원은 “SK하이닉스의 기업가치에 낸드플래시는 아직 할인요소”라며 “72단 3D낸드 비중확대와 기업용 SSD시장 진입이 늦어지면 부정적 전망이 더 힘을 얻을 수 있다”고 바라봤다.

전 세계 반도체기업들의 증설효과로 내년부터 낸드플래시 공급과잉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SK하이닉스는 생산효율과 성능이 앞선 72단 3D낸드로 타격을 방어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

김 연구원은 SK하이닉스가 72단 3D낸드를 다른 업체와 차별화되는 장점으로 앞세워 큰 변화를 추진하고 있지만 시장에서 확실하게 검증받지 않은 상태라고 지적했다.

SK하이닉스는 낸드플래시에서 내년에 영업이익률 17.5%를 보일 것으로 추정됐다. 올해 예상치보다 3%포인트 줄어드는 것이다. [비즈니스포스트 김용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