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지택 두산중공업 부회장은 올해를 중공업부문 실적반등의 원년으로 삼는다는 계획을 세웠으나 먹구름이 짙어지고 있다.
문재인 정부가 탈원전 탈석탄정책에 강력한 의지를 보이면서 두산중공업이 이른 시일 안에 실적을 끌어올리기 쉽지 않아 보인다.
![]() |
||
▲ 정지택 두산중공업 부회장. |
대신증권은 두산중공업이 올해 중공업부문에서 매출 6조1740억 원, 영업이익 2680억 원을 낼 것으로 추산했다. 지난해와 비교해 매출은 0.4%, 영업이익은 6.9% 줄어드는 것이다.
이런 실적전망이 현실화할 경우 두산중공업의 중공업부문 매출은 5년째 내리막길을 걷게 된다.
정 부회장은 올해 초 한국기계산업진흥회에서 “지난해가 마지막 고비였고 올해부터 매출과 영업이익이 성장세로 돌아설 것”이라고 확신했다. 두산중공업이 3년 연속 수주잔고를 늘린 데 자신감을 보인 것인데 현재로서 앞길이 순탄치 않아 보인다.
당초 계획대로라면 두산중공업은 신고리원전5·6호기에 들어갈 원자로설비와 터빈발전기 등을 공사하면서 2분기부터 분기마다 700~900억 원에 이르는 매출을 낼 수 있었다. 하지만 문재인 정부가 신고리원전 5·6호기 건설을 일시적으로 중단하면서 더 이상 매출을 거둘 수 없게 됐다.
두산중공업은 5월 말 기준으로 신고리원전 5·6호기 도급잔액이 1조1300억 원 남아 있었는데 1조 원이 넘는 수주잔고를 날릴 위기에 몰리게 된 것이다.
한영수 삼성증권 연구원은 “두산중공업 사업 가운데 원전사업 수익성이 가장 좋다”며 “문재인 정부가 탈원전 탈석탄 정책을 강력하게 추진하면서 두산중공업이 올해는 물론 2018년 실적까지 타격을 받게 될 수도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두산중공업이 신재생에너지발전사업에서 기회를 잡을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오지만 당장 실적개선에 보탬이 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 |
||
▲ 신고리원전 5·6호기 건설현장. <뉴시스> |
두산중공업은 국내에서 유일하게 풍력발전터빈을 공급할 수 있는 기술을 갖추고 있고 지난해 두산그리텍을 인수하면서 에너지저장장치산업에도 뛰어들었다. 두산중공업은 2019년에 상용화하겠다는 목표 아래 가스터빈을 개발하고 있을 뿐 아니라 2022년부터는 고리원전1호기의 해체작업도 맡을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국내 풍력발전과 에너지저장장치시장은 아직 초기단계라서 시장규모가 크지 않다. 가스터빈과 원전해체시장도 지금부터 몇 년 지난 뒤에 개화되는 데다 투자개발비용을 지속적으로 들여야 하는 만큼 단기적인 실적전망을 밝히기는 역부족일 수 있다.
두산중공업은 2분기 중공업부문에서 매출 1조4473억 원, 영업이익 626억 원을 거뒀다. 지난해 2분기와 비교해 매출은 2.7%, 영업이익은 13.7% 줄어들었다. [비즈니스포스트 이지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