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효성 방송통신위원장 후보자가 지상파방송 중간광고 도입을 적극적으로 추진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시청자와 시민단체 유료방송사 등의 반발이 만만치 않아 사회적 합의를 거치는데 상당한 진통이 있을 가능성이 크다.
|
|
|
▲ 이효성 방송통신위원장 후보자. |
20일 업계에 따르면 이 후보자가 KBS, SBS, MBC 등 지상파방송의 중간광고에 긍정적인 입장을 보이면서 중간광고 도입 논의가 본격화되고 있다.
이 후보자는 19일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지상파가 우월하던 시대는 갔다”며 “지상파 중간광고 도입을 이제는 적극적으로 생각해야 할 때가 됐다”고 말했다.
현행법상 중간광고는 방송프로그램 중간에 나오는 광고로 케이블TV나 위성방송 등의 유료방송에만 허용된다. 지상파방송사는 스포츠 중계 프로그램에만 중간광고를 내보낼 수 있다.
지상파방송3사는 5월부터 ‘유사중간광고(PCM)’를 도입하면서 중간광고를 허용해달라는 목소리를 강하게 내고 있다. 유사중간광고는 70여 분 분량의 예능이나 드라마를 1부와 2부로 쪼개 광고를 내보내는 방식을 말한다.
방통위는 그동안 시청자의 편의성과 다른 매체와 공정경쟁을 위해 지상파의 중간광고 도입을 반대했다. 하지만 유료방송사의 광고매출이 성장하는 반면 지상파는 매출이 감소하자 방통위도 허용하는 쪽으로 입장을 바꾼 것으로 분석된다.
제일기획이 3월 발표한 ‘대한민국 총광고비 2016년 결산’에 따르면 지상파의 2016년 광고비는 1조6576억 원으로 2015년보다 15.9% 감소했다. 이에 반해 유료방송은 1조8655억 원의 광고매출을 올려 2015년보다 5% 늘어났다.
그러나 지상파의 중간광고를 반대하는 여론을 넘어서기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홍원식 동덕여대 교수가 지난해 한국방송학회에서 발표한 ‘지상파방송의 중간광고 실시와 시청자 인식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47.1%가 지상파 중간광고 도입에 반대했다. 찬성 의견을 보인 응답자는 26%에 불과했다.
김언련 민주언론시민연합 사무처장은 “종편 등의 등장으로 지상파가 경영상 어려움을 겪고 있는 점은 이해한다”면서도 “하지만 지상파가 언론의 의무를 다하지 않으면서 중간광고를 도입하려 하는 것은 책임을 시청자에게 전가하는 꼴”이라고 지적했다.
|
|
|
▲ 고대영 KBS 사장(왼쪽부터), 박정훈 SBS 사장, 김장겸 MBC 사장. |
유료방송사나 신문사들의 반발도 만만치 않을 것으로 보인다.
이들은 지상파의 중간광고가 허용될 경우 광고집행이 한쪽으로 쏠려 지상파를 제외한 다른 매체들이 고사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지상파의 중간광고 도입이 오랫동안 논의됐음에도 실현되지 못했던 것은 타 매체들이 반대했던 영향도 컸다.
이효성 후보자는 유료방송사에 추가적인 규제완화 혜택을 줌으로써 설득해 나가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그는 △유료방송 허가체계 일원화 △케이블TV 권역 제한 폐지 △유료방송 간 소유겸영 규제 폐지 △동등결합 지원 등을 고려해 볼 것으로 관측된다.
또 이 후보자는 중간광고와 관련한 이해관계자들이 참여하는 미디어종합개혁위원회(가칭)를 만들겠다는 방침을 세웠다.
이 후보자는 미디어종합개혁위원회에서 이해관계자들의 의견을 수렴해 사회적 합의를 도출하는데 서두를 것으로 예상된다. 방통위는 문재인 정부가 19일 발표한 100대 국정과제에서 “2017년에 방송광고제도 개선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비즈니스포스트 나병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