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의점업계가 정부의 최저임금 인상 정책에 따라 변화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24시간 운영체제의 축소, 무인 결제시스템 확대 등이 예상된다.
17일 업계에 따르면 내년부터 시간당 최저임금이 역대 최대폭으로 오르면서 편의점업계가 대책을 고심하고 있다.
|
|
|
▲ 업계 최초의 무인편의점 ‘세븐일레븐 시그니처’ 매장. |
편의점업계는 인건비 비중이 특히 높아 최저임금에 가장 타격이 큰 업종으로 꼽힌다.
아르바이트 급여를 가맹점주가 부담하기 때문에 최저임금이 올라도 편의점업체에 직접적인 타격은 없으나 가맹점수수료 인하 등 지원정책을 펴지 않으면 출점전략이 차질을 빚고 폐점비용도 증가할 수 있다.
일본 편의점업체들은 이미 최저임금 상승에 따른 지원책을 제공하고 있다. 세븐앤아이(Seven&I)의 경우 수수료 수취율을 인하했고 패밀리마트는 점포 지원금을 지급한다.
하지만 지원책을 확대할 경우 수익악화가 불가피해진다. 결국 어떤 방향으로 가도 편의점업계는 손해를 비껴갈 수 없는 셈이다.
이 때문에 현재 편의점의 24시간 운영체제가 변화를 맞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편의점 인건비 부담이 높은 가장 큰 이유는 심야영업으로 현재 국내 편의점의 80%가 24시간 동안 운영되고 있다.
실제로 정부는 16일 ‘가맹사업거래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시행령을 12월 개정해 편의점 등 가맹점의 영업시간 단축 허용요건을 완화하겠다고 밝혔다.
현행법에 따르면 심야영업 시간대의 매출이 낮아 6개월 이상 연속으로 영업손실을 볼 경우 가맹본부는 오전 1~6시까지 5시간 동안 영업시간 단축을 허용해야 한다. 하지만 시행령이 개정되면 단축되는 영업시간은 기존 7시간으로 늘어나고 영업손실 요건기간도 3개월로 축소된다.
BGF리테일과 GS리테일 등이 24시간 운영을 선택사항으로 두고 있는데도 매장 80%가 심야영업을 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영업시간 단축은 점주들이 원하는 바가 아니라는 말도 나온다. 가격대가 높은 주류와 숙취해소음료 등이 이때 판매돼 객단가가 낮보다 훨씬 높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런 현상은 BGF리테일과 GS리테일, 코리아세븐 등이 모두 매장 운영시간에 따라 수익배분에 차이를 두고 있기 때문이라는 반박도 만만치 않다. 최저임금이 오르면 업체들이 더 이상 이런 정책을 고수하기 어려울 수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운영시간에 따른 수익배분 차등을 두지 않는 이마트위드미의 경우 점포의 35% 정도만 24시간 운영을 하고 있다.
편의점업체들이 무인결제 단말기 도입에 속도를 낼 가능성도 있다. 국내 편의점당 평균 직원 수는 2015년 기준으로 7.1명 수준인데 무인계산기 등을 도입해 운영인력을 줄이려는 시도를 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한상웅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일본은 길거리 라멘집부터 주차장이나 편의점 등이 빠르게 무인화되고 있으며 이런 움직임은 한국도 다르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윤정선 현대증권 연구원도 한 매체와 인터뷰에서 “무인시스템시장 확대의 배경에는 다양한 요인이 있지만 무엇보다도 높아지는 임금이 주요인”이라고 파악했다.
지난해 4월 미국에서 일부 주가 최저임금을 현재 시단당 10달러에서 2022년까지 15달러로 차츰 올리기로 하면서 웬디스, 하디스 등 패스트푸드 프랜차이즈들은 인건비 부담으로 무인 주문시스템을 도입하려 한다고 밝히기도 했다.
특히 중국에선 무인편의점이 새로운 유통업계의 흐름으로 각광받고 있다.
매장에 상품만 있는 무인편의점 ‘빙고박스’가 2016년 등장해 점포를 늘리고 있으며 알리바바 자회사인 앤트파이낸셜의 연구팀은 최근 소비자가 물건을 선택한 후 매장을 나가면 자동결제가 되는 무인상점 ‘타오까페’를 열었다.
국내에서도 세븐일레븐이 5월 잠실 롯데월드타워에 계산원이 없는 스마트 편의점 ‘세븐일레븐 시그니처’를 선보였다. 세븐일레븐 관계자는 “계산대에 직원이 없어도 되는 만큼 직원을 재고와 발주, 상품관리 등에 투입해 노동의 질을 높이려는 것”이라고 말했다.
무인단말기사업을 하는 씨아이테크 주가는 17일 전거래일보다 18.12% 오른 743원에 장을 마쳤다. 4거래일 만에 반등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고진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