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상풍력발전이 문재인 정부 신재생에너지 확대정책의 대안 가운데 하나로 떠오르고 있다.
정부가 해상풍력발전 육성에 주도적 역할을 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게 나온다.
|
|
|
▲ 전현희·이원욱 더불어민주당 의원. |
국회 신재생에너지포럼은 8일 국회 의원회관 대회의실에서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과 함께 해상풍력산업화 전망과 과제 토론회를 열었다.
신재생에너지포럼 공동대표인 전현희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우리나라는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있어 해상풍력을 발전시키는데 지리학적으로 매우 유리한 위치임에도 아직 걸음마 단계”라며 “해상풍력산업화를 위해 국가차원의 로드맵 수립과 체계적인 추진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전 의원과 함께 공동대표를 맡고 있는 이원욱 더불어민주당 의원도 “신재생에너지원인 해상풍력 앞에는 사회수용성 문제, 금융활성화 방안, 실효있는 제도구축 등 큰 장벽이 있다”며 “산업계와 학계, 그리고 정부가 지속가능한 에너지의 마련을 위해 문제를 해결해 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황진택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원장은 “해상풍력발전은 미래 에너지의 대안인 동시에 우리나라가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추고 있는 조선·해양·철강 등 연관 산업과의 시너지효과 창출이 기대되는 분야”라며 “이번 포럼에서 제시된 의견들이 해상풍력산업화 정책에 훌륭한 길잡이가 되길 바란다”고 기대했다.
성진기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팀장은 ‘해상풍력발전 현황과 미래’라는 주제의 발제에서 해상풍력발전의 성장가능성을 설명했다. 전세계 풍력산업 규모는 조선산업과 대등한 수준이며 우리나라의 해상풍력 잠재량이 33.2기가와트 이상으로 추산된다.
성 팀장은 “풍력산업 침체의 핵심원인은 정책 신뢰성과 철저한 실행계획 수립 미흡”이라며 “정부정책의 일관성을 확보하고 지역주도, 주민참여 개발로 적극적인 이해관계자 소통에 나서야 한다”고 지적했다.
송승호 광운대학교 교수는 해상풍력발전 기반을 조성하기 위해 △해상환경에 관한 국가정보 구축 △국가 해상풍력발전 기본계획 수립 △국가 해상풍력발전단지 특별지구 지정 △배후 항만 건설계획 수립 △전문인력 양성계획 수립 △해양풍력 안전체계 구축 △해상풍력 발전비용 절감을 위한 보급 지원체계 구축 등 7대 과제를 제안했다.
2030년까지 13기가와트로 해상풍력 규모가 커질 경우 78조 원의 투자효과와 53만 명의 직접고용이 창출될 것으로 추산된다. 또 조선기자재 등이 활용돼 조선해양산업과 시너지도 기대된다.
하지만 비용이 많이 들고 사업 리스크가 커 금융확보가 어렵다. 참여 주체의 역량과 경험이 부족해 기술적 어려움도 뒤따른다. 이를 극보하기 위해 정부가 해상풍력 클러스터를 조성하는 등 산업발전을 주도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온다.
전용철 미래에셋대우 전무는 “공공기관이 국내 해상풍력 시장의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해 해상풍력 기반을 조성해야 한다”며 “영국 등 정부주도형 금융모델의 선진국 사례를 참조해 안정적 수입구조로 민간금융 투자를 유도해야 한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디모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