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C용 D램 수요가 콘텐츠 고사양화와 고성능 그래픽카드의 판매확대로 장기간의 정체에서 벗어나 올해부터 본격적인 성장세를 탈 것으로 예상된다.

D램 평균가격의 상승세가 더욱 가팔라지며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추가적인 실적개선효과를 볼 것으로 전망된다.

  PC용 D램도 가격상승,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실적에 날개  
▲ 김기남 삼성전자 반도체총괄 사장(왼쪽)과 박성욱 SK하이닉스 부회장.
박유악 키움증권 연구원은 5일 “PC 제조사들의 평균 D램 탑재량이 올해 하반기부터 본격적으로 증가할 것”이라며 “지난 5년 동안의 정체기를 벗어나며 가격상승을 이끌 것”이라고 내다봤다.

최근 대만에서 열린 글로벌 IT전시회 ‘컴퓨텍스2017’에서 전 세계 PC제조사들은 16기가 이상의 대용량 D램을 탑재한 제품을 대거 선보였다. 노트북의 D램 탑재량도 대부분 8기가 이상으로 늘었다.

박 연구원은 PC용 소프트웨어와 게임 등 콘텐츠의 기본 요구사양이 높아진데다 고성능 그래픽카드의 보급확대로 대용량 D램 탑재가 필수적으로 자리잡게 된 것으로 분석했다.

시장조사기관 가트너에 따르면 PC의 평균 D램 탑재량은 2012년부터 지난해까지 4기가 후반대에서 정체상태에 놓였다. 하지만 내년에는 5.7기가까지 급증할 것으로 전망됐다.

박 연구원은 “올해 하반기부터 제조사들이 D램 재고축적에 나서며 PC용 D램 평균가격이 상승세에 오를 것”이라며 “모바일과 서버에 이어 PC까지 D램 업황호조가 확대돼 반도체기업들이 수혜를 볼 것”이라고 진단했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글로벌 D램시장에서 점유율 1~2위를 나란히 차지하며 75% 정도의 합산 점유율로 과점체제를 구축하고 있어 가격상승을 하면 가장 큰 이득을 볼 수 있다.

박 연구원은 PC에서 현재 D램이 차지하는 원가비중이 5% 정도에 불과해 제조사들이 충분히 가격상승에도 탑재량을 늘릴 여력이 충분할 것으로 내다봤다. [비즈니스포스트 김용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