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정부가 앞으로 국내 인프라시장에 투자를 늘릴 것으로 전망됐다.
이경자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17일 “문재인 정부에서 내수 건설시장의 중심은 민간주택에서 인프라와 공공주택 등 복지 차원으로 옮겨갈 것”이라며 “2010년 이후 장기간 사회간접자본(SOC) 투자가 축소됐던 점을 감안할 때 문재인 정부가 인프라시장에 투자할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
|
|
▲ 문재인 대통령. |
국내 인프라는 대부분 1970~1990년대에 단기간에 건설돼 노후화 속도가 빠른 것으로 파악된다. 1·2종 노후기반시설물(건축물 제외)이 전체 시설물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14년 10%였지만 2024년에 22.2%까지 급증할 것으로 예상된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한국이 경제 저성장 기조를 극복하기 위해서 인프라에 투자를 늘릴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한국이 교통인프라에 대한 지출하는 비용은 경제협력개발기구에 가입한 국가들의 투자비용과 비교해 63% 수준에 불과하다.
이 연구원은 “인프라투자는 당위성과 현설성의 모든 측면에서 문재인 정부에서 우선적으로 고려될 카드”라며 “국내 건설투자가 확장국면을 이어갈 것”이라고 전망했다.
인프라투자는 교통망을 확충하는 작업부터 추진될 것으로 보인다.
문재인 대통령은 후보시절에 강원도와 호남을 잇는 새 고속도로를 건설하고 거점지역에 복합교통망을 구축하는 등 교통망을 혁신하겠다고 약속했다. 노동자들이 출퇴근에 소비하는 시간을 줄이기 위해 광역철도 등도 새로 만들겠다고 밝혔다.
이 연구원은 문재인 정부가 ‘제3차 국가철도망구축계획’을 빠르게 시행하는데 역점을 둘 것으로 바라봤다.
제3차 국가철도망구축계획은 2016~2025년의 철도망 구축방향을 제시하는 중장기 계획으로 지난해 6월 국토교통부가 발표했다. 이 계획이 추진되면 전체 인구의 85%가 고속화철도 교통망의 수혜를 볼 것으로 예상된다. 사업규모는 국고 43조1천억 원, 민간자본 19조8천억 원 등 모두 70조4천억 원 규모다. [비즈니스포스트 남희헌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