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중은행들이 대우조선해양 지원과 관련해 다른 사채권자들의 동의가 있을 경우 정부의 지원방안을 따르기로 했다.
28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시중은행들은 대우조선해양의 회사채를 보유한 채권자들의 자율적인 채무조정을 전제로 정부의 대우조선해양 지원방안을 따르기로 뜻을 모았다.
![]() |
||
▲ 이동걸 KDB산업은행 회장. |
시중은행들이 사채권자들의 자율적 채무조정을 전제로 정부의 지원방안에 동의하면서 대우조선해양의 운명은 4월17일과 18일 열리는 사채권자집회에서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사채권자집회에서 자율적인 채무조정에 실패할 경우 대우조선해양은 곧바로 법정관리의 일종인 사전회생계획제도(P-Plan)에 들어간다.
자율적인 채무조정에 성공하면 시중은행들은 약속한 대로 보유하고 있는 대우조선해양의 무담보채권 7천억 원의 80%인 5600억 원을 출자전환한다. 나머지 20%인 1400억 원가량의 채권은 만기를 5년 늦춘다.
대우조선해양이 신규수주를 할 경우 5억 달러(약 5500억 원)규모로 선수금환급보증(RG)도 담당한다.
산업은행은 27일 시중은행의 실무자를 대상으로 채권단협의회를 열고 정부의 지원방안 등을 설명하고 동의를 구했다.
동의과정에서 대우조선해양의 대주주인 산업은행이 더 큰 책임분담을 위해 추가감자를 해야 한다는 의견 등도 나왔으나 대세에는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비즈니스포스트 이한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