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이 바닷속에서 정보를 전송해 재난대응과 환경보호에 활용할 수 있는 수중통신망의 핵심설계기술을 국내 최초로 확보했다.
SK텔레콤은 한국의 해안선과 해저지형정보에 적합한 한국형 수중통신망을 기존의 해상∙육상통신망과 연동하는 설계기술을 국내에서 처음으로 개발에 성공했다고 12일 밝혔다.
SK텔레콤은 2015년부터 호서대학교와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한국원자력연구원 등과 공동으로 해양수산부가 지원하는 국가연구개발사업 ‘분산형 수중 관측·제어망 개발’사업에 참여해왔다.
SK텔레콤은 한국의 해안선과 해저지형정보에 적합한 한국형 수중통신망을 기존의 해상∙육상통신망과 연동하는 설계기술을 국내에서 처음으로 개발에 성공했다고 12일 밝혔다.
![]() |
||
▲ SK텔레콤의 수중통신망기술 안내. |
이번에 확보한 설계기술을 활용하면 SK텔레콤은 2021년 이후로 예정된 통신망 구축 본사업에도 참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박진효 SK텔레콤 네트워크기술원장은 “SK텔레콤의 네트워크 설계기술이 대한민국 해양통신기술 선진화에 기여했다”며 “이번에 확보한 기술은 해상 재난대응과 해양 생태계 관측 등에 활용될 수 있다”고 말했다.
박진효 SK텔레콤 네트워크기술원장은 “SK텔레콤의 네트워크 설계기술이 대한민국 해양통신기술 선진화에 기여했다”며 “이번에 확보한 기술은 해상 재난대응과 해양 생태계 관측 등에 활용될 수 있다”고 말했다.
수중통신망을 통해 바닷속에서 측정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지상에 전송하면 조류의 흐름과 지진파 등을 측정해 빠른 재난상황대응망을 구축할 수 있다. 해양 생태계 정보를 전송해 환경보호와 어업 등에도 활용할 수 있다.
SK텔레콤이 확보한 통신기술은 물 속에서 센서가 측정한 정보를 음파 형태로 해상통신부표에 전달한 뒤 위성통신 등을 거쳐 지상으로 전송하는 구조를 갖추고 있다.
SK텔레콤은 수중통신망 설계기술을 지속적으로 발전시킨 뒤 이를 지상통신망과 연계해 ‘바닷속도 사물인터넷으로 연결하겠다’는 중장기 계획도 세우고 있다. [비즈니스포스트 임주연 기자]
SK텔레콤은 수중통신망 설계기술을 지속적으로 발전시킨 뒤 이를 지상통신망과 연계해 ‘바닷속도 사물인터넷으로 연결하겠다’는 중장기 계획도 세우고 있다. [비즈니스포스트 임주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