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1월 기준금리를 동결했다.
대내외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에서 금융안정에 초점을 두고 미국 새 정부의 정책방향과 주요국들의 통화정책 등을 지켜보려는 것으로 보인다.
|
|
|
▲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 |
한국은행은 13일 이주열 총재 주재로 올해 첫 금융통화위원회를 열어 기준금리를 연 1.25% 로 유지하기로 했다. 지난해 6월 0.25%포인트 내린 뒤 7개월 연속 동결했다.
한국은행은 미국 트럼프 정부 출범과 미국 금리인상, 국내 정치불안 등 대내외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에서 금융안정을 우선시했다고 할 수 있다.
한국은행은 “글로벌경제의 회복세는 미국의 정책방향 및 통화정책 정상화 속도, 보호무역주의 확산 등에 영향을 받을 것”이라며 “국내경제는 수출부진은 완화됐지만 내수의 회복세가 느려지면서 성장세가 다소 둔화됐다”고 진단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는 지난해 12월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올린 데 이어 올해 3차례 인상을 시사했다.
미국 금리인상 이후 원/달러환율이 급등락을 반복하고 있는 데다 한-미 금리격차가 더욱 줄어들 경우 해외자금이 빠져나갈 수 있기 때문에 국내 금융시장의 불안정성은 확대되고 있다.
미국 트럼프 정부의 경제정책도 불확실성을 더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자는 11일 첫 공식 기자회견을 열었는데 인프라 투자확대과 규제완화, 감세 등 재정정책과 관련해 구체적인 언급을 하지 않아 미국 새 정부의 정책방향을 놓고 시장의 불안감은 더욱 높아졌다.
1300조 원을 넘어선 국내 가계부채 문제와 박근혜 게이트로 불거진 국내 정치불안도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동결에 영향을 끼친 요인으로 꼽힌다.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에서 한국은행이 당분간 금리를 동결하며 미국 트럼프 정부의 재정정책과 주요 국가들의 통화정책, 가계부채 문제의 진행상황 등을 확인할 것이라는 시각이 우세하다.
한국은행은 “물가상승률이 목표수준이 2% 수준에 접근하도록 하는 것과 동시에 금융안정에 유의해 통화정책을 운용할 것”이라며 “이 과정에서 대내외 여건의 불확실성과 그 영향, 미 연방준비제도의 통화정책 정상화 추이, 가계부채 증가세 등을 면밀히 점검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최석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