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가 신흥시장인 인도에서 화폐개혁의 여파로 지난해 11월과 12월 자동차 판매량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현대차를 포함한 주요 완성차회사가 지난해 12월 인도에서 화폐개혁의 여파로 판매부진을 겪었다고 2일 니케이아시안리뷰가 보도했다.
![]() |
||
▲ 정의선 현대차 부회장. |
고액권 유통이 중단되면서 지난해 11월 자동차 판매가 크게 줄어들자 완성차회사들은 공장을 폐쇄하는 등 줄어든 수요에 대응했다고 매체는 전했다.
인도에서 자동차 판매감소세는 지난해 12월에도 계속됐다. 1위 완성차회사인 마루티스즈키의 경우 지난해 12월 판매량은 5개월 만에 처음으로 감소했다. 지난해 12월 판매량은 10만6388대로 2015년 12월보다 4.4% 줄었다.
2위 현대차의 판매량도 줄었다. 현대차는 지난해 12월 인도에서 전년도 12월보다 4.3% 줄어든 4만57대를 팔았다. 지난해 11월 판매량은 2015년 11월보다 8.3% 줄었다.
인도 최대 SUV 회사인 마힌드라의 판매량도 감소했다. 지난해 12월 판매량은 1만6698대로 전년도 12월보다 8% 떨어졌다.
니케이아시안리뷰는 12월이 자동차판매 성수기인데도 인도 자동차판매가 줄어들면서 화폐개혁으로 인도 자동차시장이 위축되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지적했다.
자동차시장조사기관인 IHS오토모티브의 한 연구원은 매체와 인터뷰에서 “마루티스즈키와 현대차는 인도 자동차업계 선두회사로 두 회사의 판매량 감소는 화폐개혁의 여파를 여실히 드러낸 것”이라며 “두 회사를 제외한 나머지 완성차회사의 판매량은 두자릿수 이상의 감소율을 보였을 것”이라고 말했다.
현대차는 화폐개혁에 따른 인도 판매위축이 3월 쯤 해소될 것으로 보고 있다.
현대차는 지난해 인도에서 50만537대를 팔면서 역대 최대 판매 기록을 세웠다. 지난해 판매량은 2015년 47만6001대에서 5.2% 늘어났다. [비즈니스포스트 임수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