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성립 사장이 대우조선해양의 재무구조를 개선해도 경영정상화까지 가야할 길은 여전히 멀어 보인다.
대우조선해양이 완전자본잠식을 해소해도 유동성을 확보하는 데 여전히 어려움을 겪고 있기 때문이다.
정 사장은 앞으로 신규수주를 통해 회사운영 자금을 확보하는 데 온힘을 쏟을 것으로 보인다.
|
|
|
▲ 정성립 대우조선해양 사장. |
28일 조선업계에 따르면 대우조선해양이 29일 유상증자와 영구채 발행 등을 통한 자본확충계획을 마무리해도 여전히 경영에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분석된다.
대우조선해양은 29일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으로부터 모두 2조8천억 원 규모의 자금을 지원받는다. 산업은행은 출자전환을 통한 유상증자로 1조8천억 원을 지원하고 수출입은행은 1조 원의 영구채를 매입한다.
하지만 자금지원이 대우조선해양의 대출금과 상계하는 방식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대우조선해양이 실제로 손에 쥘 수 있는 현금은 없는 것으로 파악된다.
대우조선해양이 재무제표상 재무구조만 개선할 뿐 실질적인 현금유입효과를 거두기는 힘들다는 것이다. 대우조선해양이 앞으로도 당분간 허리띠를 졸라매는 식의 경영을 지속해야 하는 상황을 피할 수 없다는 얘기다.
홍석준 한국신용평가 연구위원은 “대우조선해양은 자본확충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대내외적으로 자금부담 압박을 심하게 받을 것”이라며 “내년에 회사채 만기가 본격적으로 도래하면 유동성이 악화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대우조선해양은 내년 2월에 140억 원의 전환사채 만기가 돌아온다. 4월부터 11월까지 차례대로 만기가 돌아오는 회사채 규모도 9400억 원에 이른다.
현재 대우조선해양의 신용등급이 투기등급인 ‘B+’인 점을 감안하면 차환을 발행해 회사채를 상환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독자적으로 상환대금을 마련해야 하는 상황인 셈이다.
문제는 대우조선해양이 신규수주가 부진했던 탓에 선수금을 거의 확보하지 못해 현금흐름이 매우 악화한 상태라는 점이다.
대우조선해양 재무제표를 보면 3분기 말 기준 영업활동 현금흐름은 –5762억 원이다. 영업활동 현금흐름은 기업이 영업을 통해 실제 벌어들인 현금을 일컫는데 이 항목이 마이너스를 기록하게 되면 회사가 운영자금을 조달하는 데 부담이 늘어나고 있는 상황으로 해석할 수 있다.
대우조선해양은 해양플랜트를 인도해 잔금을 받는 데도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 대우조선해양은 ‘소난골 드릴십’의 인도를 통해 1조 원에 이르는 건조대금을 받아야 하지만 올해 6월부터 수 차례나 인도가 지연됐다.
조선업계는 정 사장이 신규수주에서 자금확보의 답을 찾을 가능성이 크다고 바라본다. 무엇보다도 완전자본잠식 상태라는 꼬리표를 뗀 만큼 신규수주에 적극적으로 매진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됐기 때문이다.
정 사장은 하반기에 글로벌 발주처들과 수주협상을 진행하는데 난항을 겪었다. 취약한 재무구조가 협상의 걸림돌로 작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 사장은 10월 말 대우조선해양 사보 인터뷰에서 “회사가 살아남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일거리를 확보해 하는게 우선돼야 하는데 지금 상황에서 경쟁에 참여하려면 자본확충 등 재무구조를 개선하는 일이 시급하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대우조선해양은 29일 완전자본잠식 상태를 해소해 글로벌 발주처들과 제대로 된 협상을 진행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게 됐다.
조선업계는 내년에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의 발주가 늘어날 것으로 내다보고 있는데 대우조선해양이 이 분야에서 독보적인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어 신규수주에 탄력을 받을 것으로 관측된다. [비즈니스포스트 남희헌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