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2P(개인 대 개인)금융시장이 담보대출을 중심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P2P 금융시장의 동향을 분석하는 크라우드연구소가 6일 발표한 ‘11월 말 P2P금융 성장보고서’에 따르면 누적 P2P대출 잔액은 11월 말 기준으로 4920억 원으로 집계됐다. 10월보다 22%(888억 원) 늘었다.
![]() |
||
▲ 크라우드연구소가 6일 발표한 ‘11월 말 P2P금융 성장보고서’에 따르면 누적 P2P대출 잔액은 11월 말 기준으로 4920억 원으로 집계됐다. |
크라우드연구소는 올해 누적 P2P대출 잔액이 5500억 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P2P대출의 증가세는 담보대출이 이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P2P대출 가운데 담보대출이 3213억 원(65%), 신용대출 467억 원(10%), 기타 1240억 원(25%)이다.
P2P대출 중개회사 수도 빠르게 늘어나고 있다. 11월 말 기준으로 P2P대출 중개회사 수는 121곳인데 11월 한 달 동안 18곳이 더 늘었다. 대출상품별로 살펴보면 담보전문업체 67곳(55%), 종합 중개회사 31곳(26%), 신용전문업체 12곳(10%), 기타 11곳(9%)이다.
P2P투자의 전체 수익률은 11월 말 기준으로 12.09%인데 투자종류별로 수익률을 살펴보면 담보투자 14.56%, 신용투자 11.65%, 기타 11.06%로 나타났다.
그러나 P2P대출 중개회사 수가 증가하면서 제대로 운영되지 않는 부실업체도 점차 늘어나고 있다.
11월 기준으로 전체 P2P대출 중개회사 121곳 가운데 57곳(47%)만 사업을 시작한 뒤 누적대출액이 매월 늘었다. 나머지 P2P대출 중개회사들은 매월 운영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얘기다.
한달 이상 운영되지 않는 업체는 11월 말 기준으로 25곳(21%)인데 담보전문업체가 16곳에 이른다.
P2P대출 중개회사 가운데 중개한 대출의 부도율을 공개하는 곳은 42곳(34%)인데 나머지 79곳(66%)는 부도율을 공개하지 않고 있다. [비즈니스포스트 최석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