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왼쪽부터) 국민의힘 추경호 원내대표, 김상훈 정책위의장, 박수영 의원, 안상훈 의원이 12일 국회 본관에서 열린 '연금개혁 정책간담회'에 참석한 모습. <연합뉴스>
김상훈 국민의힘 정책위의장은 12일 국회 본관에서 열린 '연금개혁 정책간담회'에서 연금 모수개혁안의 방향을 설명하며 이같이 말했다.
지난 21대 국회에서 야당인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모수개혁안으로 보험료율을 기존 9%에서 13%로 인상하고 소득대체율은 기존 42.5%에서 45%로 인상하는 방안을 5월25일 내놨다.
이는 기존 2055년으로 예정된 연금 고갈시기를 8년 가량 늦추는 효과가 있지만 정부와 국민의힘은 '시간이 걸리더라도 영구적으로 지속가능한 개혁안을 준비해야 한다'는 명분을 내세워 이 안을 거부했다.
그 뒤 지난 4일 보건복지부가 정부안을 내놨다. 이 안은 보혐료율을 13%, 소득대체율은 42%로 조정하는 모수개혁 내용과 함께 '자동조정장치'를 비롯한 구조개혁과 관련한 내용도 담겼다.
하지만 이 자동조정장치가 연금의 일방적·항구적 삭감을 가능하게 하는 조항이라는 점에서 야당의 반대에 부딪혀있다.
국민의힘은 정부안과 야당안을 절충한 연금개혁안을 준비할 것으로 보인다.
김상훈 의장은 "정부가 자동안정화 장치, 지급 보장 명문화, 기초연금 인상 등 여러 가지 부가적인 대책을 같이 마련해서 국회로 공을 넘겼다”며 “이제 국회의 시간이 됐는데 원활하게 협의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조충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