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신원근 카카오페이 대표이사가 재신임 첫 해 쉽지 않은 경영환경에 맞닥뜨리고 있다.
김범수 카카오 경영쇄신위원장의 구속으로 모그룹 ‘사법 리스크’가 재부각된 가운데 티몬·위메프 사태에 따른 손실 부담을 떠안게 될 처지에 놓였다.
▲ 신원근 카카오페이 대표이사가 모기업의 사법 리스크에 티몬·위메프 사태로 대내외적으로 녹록치 않은 경영환경을 맞닥뜨리고 있다.
29일 카카오페이와 카카오톡 고객센터에서는 티몬과 위메프 결제금액에 관한 취소신청을 받고 있다. 카카오페이는 티몬, 위메프와 같은 이커머스기업과 소비자 사이에서 간편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이다.
카카오페이는 일반 소비자를 대상으로 하는 B2C기업이다 보니 주력인 간편결제서비스에 관한 신뢰 등 측면에서도 더욱 발 빠르게 결단을 내린 것으로 보인다.
문제는 카카오페이를 비롯한 간편결제사들이 티몬·위메프 선환불금액에 관한 손실을 그대로 짊어지게 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다.
티몬·위메프 계열사들의 누적 손실 등 부실이 심각한 것으로 파악되는 데다 정부와 당국은 입점 중소기업, 소상공인 등의 미정산 판매대금 지원 등에 초점을 맞추고 있기 때문이다.
카카오페이는 1분기 연결 순이익이 1억6748만 원으로 가까스로 흑자전환했고 영업손실(-97억 원)이 지속되고 있다.
자회사 카카오페이증권은 2023년 순손실 517억 원을 냈고 올해 1분기에도 순손실 105억 원을 보였다. 카카오페이손해보험도 지난해(-372억 원)에 이어 1분기 순손실 117억 원을 지속하고 있다.
수익성 개선 과제가 여전히 무거운 가운데 티몬·위메프 선환불 손실은 규모를 제쳐두고라도 달갑지 않을 수밖에 없는 셈이다.
애초 카카오페이와 같은 간편결제사들이 이커머스기업에 결제정산을 해주고 나면 그 뒤 취소, 환불에 관해서는 이커머스기업의 책임영역이다.
하지만 티몬·위메프 미정산 피해가 판매사뿐 아니라 일반 소비자들 사이에서도 크게 확산되면서 금융당국의 협조 압박에 카카오페이를 비롯한 간편결제사들이 선제적 환불조치로 책임을 부담하고 있다.
카카오페이 등 간편결제사들은 7월 중순까지도 티몬 해외직구 세일 이벤트 등 여러 협업도 진행해온 만큼 소비자 환불금액 외 부수적 영업부분의 타격도 있을 수 있다.
이번 사태로 금융당국이 전자금융업계 전체에 관한 규제 강화 기조를 취할 수 있는 점도 부담이다. 카카오페이는 수익성 개선과 금융서비스기업으로 도약 측면에서 증권과 보험 자회사를 성장궤도에 올려야 하는 중요한 시점을 맞이하고 있기 때문이다.
임희연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6월 말 카카오페이 기업보고서에서 “카카오페이는 이상적 사업모델에 관한 기대감이 있지만 적자 장기화로 기업가치 부담이 확대돼 있다”며 “카카오페이 주가가 회복하려면 별도 이익 확대, 계열사 흑자전환 등이 필요하다”고 바라봤다.
카카오페이는 2024년 1분기 기준 전체 매출에서 결제서비스 매출이 차지하는 비중이 68%에 이른다. 자회사 카카오페이증권과 카카오페이손해보험을 통한 금융서비스 매출 비중은 28.3%, 기타서비스 비중은 3.63% 수준이다.
국회 정무위원회 강민국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소비자원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티몬·위메프 미정산 사태가 벌어진 22일부터 28일까지 일주일 동안 접수된 티몬·위메프 관련 소비자상담 및 피해구제 건수는 5899건이다. 이는 2023년 한 해 동안 접수된 건수의 2배 수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