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IBK기업은행이 지난해 대규모 비용 반영에도 최고 실적을 기록한 가운데 올해도 실적 개선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됐다.
김은갑 키움증권 연구원은 8일 기업은행의 목표주가를 기존 1만5천 원에서 1만7천 원으로 높여잡았다. 투자의견은 매수(BUY)로 유지했다.
7일 기업은행 주가는 1만3310원으로 거래를 마쳤다.
김 연구원은 “특별한 이슈가 없는 한 2024년에도 실적개선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한다”며 “2023년 4분기 순이자마진(NIM)이 3분기 수준으로 유지되며 이자이익 증가세를 보였고 중소기업대출 증가율은 5.9%로 성장세도 양호하다”고 말했다.
기업은행은 2024년 연결기준으로 순이익 2조8200억 원을 낼 것으로 예상됐다. 2023년과 비교해 5.5% 증가하는 것이며 기존 키움증권의 실적 전망치보다 1.2% 상향된 수치다.
올해 실적개선을 바라보는 배경에는 기업은행이 2023년 대규모 비용 반영에도 최고 실적을 갈아치운 점이 있다.
기업은행은 2023년 연결기준 순이익 2조6752억 원을 거뒀다. 2022년보다 순이익이 0.1% 증가했다.
2023년 4분기에 상생금융 비용 1825억 원, 추가 충당금비용 2660억 원이 반영됐음에도 역대 최고 실적을 경신한 것이다.
김 연구원은 “대규모 비용발생을 감안하면 2023년 4분기에도 매우 좋은 실적을 냈다”며 “기업은행의 경상적 이익규모가 과거 대비 확실히 증가한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다른 대형은행과 비교해 홍콩H지수 ELS(주가연계증권) 판매액이 적어 관련 불확실성이 낮다는 점 역시 실적 상승세를 뒷받침하는 요인으로 꼽혔다.
기업은행의 2023년 결산 기준 주당배당금(DPS)은 1천 원, 배당수익률은 7.5%로 전망됐다. 2022년 주당배당금 960원과 비교해 증가하는 것이다.
김 연구원은 “기업은행은 중간, 분기배당을 하지 않는 은행주로 결산배당 수익률이 타 은행주 대비 상대적으로 높은데 최근 주가 상승으로 다소 하락했다”며 “배당기준일은 2월 중순 이후 공시될 것으로 예정됐다”고 말했다. 조혜경 기자
김은갑 키움증권 연구원은 8일 기업은행의 목표주가를 기존 1만5천 원에서 1만7천 원으로 높여잡았다. 투자의견은 매수(BUY)로 유지했다.

▲ IBK기업은행이 지난해 사상 최고 실적을 갈아치운 가운데 올해도 실적을 개선할 것으로 전망됐다.
7일 기업은행 주가는 1만3310원으로 거래를 마쳤다.
김 연구원은 “특별한 이슈가 없는 한 2024년에도 실적개선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한다”며 “2023년 4분기 순이자마진(NIM)이 3분기 수준으로 유지되며 이자이익 증가세를 보였고 중소기업대출 증가율은 5.9%로 성장세도 양호하다”고 말했다.
기업은행은 2024년 연결기준으로 순이익 2조8200억 원을 낼 것으로 예상됐다. 2023년과 비교해 5.5% 증가하는 것이며 기존 키움증권의 실적 전망치보다 1.2% 상향된 수치다.
올해 실적개선을 바라보는 배경에는 기업은행이 2023년 대규모 비용 반영에도 최고 실적을 갈아치운 점이 있다.
기업은행은 2023년 연결기준 순이익 2조6752억 원을 거뒀다. 2022년보다 순이익이 0.1% 증가했다.
2023년 4분기에 상생금융 비용 1825억 원, 추가 충당금비용 2660억 원이 반영됐음에도 역대 최고 실적을 경신한 것이다.
김 연구원은 “대규모 비용발생을 감안하면 2023년 4분기에도 매우 좋은 실적을 냈다”며 “기업은행의 경상적 이익규모가 과거 대비 확실히 증가한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다른 대형은행과 비교해 홍콩H지수 ELS(주가연계증권) 판매액이 적어 관련 불확실성이 낮다는 점 역시 실적 상승세를 뒷받침하는 요인으로 꼽혔다.
기업은행의 2023년 결산 기준 주당배당금(DPS)은 1천 원, 배당수익률은 7.5%로 전망됐다. 2022년 주당배당금 960원과 비교해 증가하는 것이다.
김 연구원은 “기업은행은 중간, 분기배당을 하지 않는 은행주로 결산배당 수익률이 타 은행주 대비 상대적으로 높은데 최근 주가 상승으로 다소 하락했다”며 “배당기준일은 2월 중순 이후 공시될 것으로 예정됐다”고 말했다. 조혜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