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레고켐바이오의 최대주주로 오리온이 등극하며 장기 성장 동력을 확보했다는 평가가 나왔다.
박재경 하나투자증권 연구원은 17일 레고켐바이오 보고서에서 “유상증자로 주당 가치 희석이 발생하는 것은 분명하나, 중장기적으로 연구개발을 이어갈 수 있는 실탄을 확보했다는 점이 충분히 긍정적이다”고 바라봤다.
레고켐바이오는 15일 오리온의 자회사인 팬오리온(오리온 중국 법인 지주회사)와 최대주주 변경을 수반하는 주식양수도 및 제3자 배정 유상증자 계약을 체결했다고 공시했다.
이번 주식양수도 계약과 유상증자를 통해 오리온 측은 레고켐바이오의 지분 25.73%를 가진 최대주주가 된다.
공시 발표 이후 레고켐바이오의 주가는 4.7% 하락했지만 장기적으로 긍정적인 효과가 기대된다.
이번 계약은 경영권을 포함한 회사 전체 매각 계약이 아니라 투자 유치에 가까워서다. 레고켐바이오는 최대주주 변경 이후에도 인사, 연구개발 등 전반적인 경영 활동을 자율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레고켐바이오는 자체 신약후보물질(파이프라인)도 임상 개발하고 있어 2024년부터 성과가 기대된다.
LCB84는 2024년 1상 종료 후 2025년 2상 진입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밖에 주목해야 할 신약후보물질로 LCB67(DLK-1 ADC), LCB02(Claudin 18.2 ADC), LCB97(L1CAM ADC), LCB41(B7-H4 ADC) 등이 있으며 2024년 4분기에서 2025년 1분기 임상 1상 시험계획신청(IND)이 예정돼 있다.
박 연구원은 레고켐바이오의 목표주가와 투자의견은 따로 제시하지 않았다.
레고켐바이오 주가는 16일 5만2200원에 거래를 마쳤다. 배윤주 기자
박재경 하나투자증권 연구원은 17일 레고켐바이오 보고서에서 “유상증자로 주당 가치 희석이 발생하는 것은 분명하나, 중장기적으로 연구개발을 이어갈 수 있는 실탄을 확보했다는 점이 충분히 긍정적이다”고 바라봤다.
▲ 레고켐바이오가 장기 성장 동력을 확보했다는 평가가 나왔다.
레고켐바이오는 15일 오리온의 자회사인 팬오리온(오리온 중국 법인 지주회사)와 최대주주 변경을 수반하는 주식양수도 및 제3자 배정 유상증자 계약을 체결했다고 공시했다.
이번 주식양수도 계약과 유상증자를 통해 오리온 측은 레고켐바이오의 지분 25.73%를 가진 최대주주가 된다.
공시 발표 이후 레고켐바이오의 주가는 4.7% 하락했지만 장기적으로 긍정적인 효과가 기대된다.
이번 계약은 경영권을 포함한 회사 전체 매각 계약이 아니라 투자 유치에 가까워서다. 레고켐바이오는 최대주주 변경 이후에도 인사, 연구개발 등 전반적인 경영 활동을 자율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레고켐바이오는 자체 신약후보물질(파이프라인)도 임상 개발하고 있어 2024년부터 성과가 기대된다.
LCB84는 2024년 1상 종료 후 2025년 2상 진입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밖에 주목해야 할 신약후보물질로 LCB67(DLK-1 ADC), LCB02(Claudin 18.2 ADC), LCB97(L1CAM ADC), LCB41(B7-H4 ADC) 등이 있으며 2024년 4분기에서 2025년 1분기 임상 1상 시험계획신청(IND)이 예정돼 있다.
박 연구원은 레고켐바이오의 목표주가와 투자의견은 따로 제시하지 않았다.
레고켐바이오 주가는 16일 5만2200원에 거래를 마쳤다. 배윤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