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삼성증권이 지난해 순이익이 40% 가량 늘어난 것으로 추정됐다. 부동산PF(프로젝트파이낸싱) 리스크도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분석됐다.
김인 BNK투자증권 연구원은 10일 삼성증권의 투자의견 ‘매수’, 목표주가 4만5천 원을 유지했다.
전날 삼성증권 주가는 3만6850원에 장을 마감했다.
지난해 4분기 삼성증권은 1764억 원의 수수료이익을 거둔 것으로 추정됐다. 1년 전과 비교해 25% 증가하는 것이다.
2022년도 4분기 일평균 거래대금은 13조 원이었으나 지난해 4분기엔 16조5천억 원까지 증가하면서 수탁수수료가 늘어난 것으로 분석된다.
한편 지난해 4분기 이자이익은 1673억 원으로 20% 증가한 것으로 추산됐다.
김 연구원은 “신용융자 잔고가 소폭 확대됐으며 특히 조달부담 축소에 따른 마진율 상승, 수익성 중심의 자금운용도 지속됐다”고 말했다.
다만 지난해 4분기 기타관련손익에선 508억 원의 적자를 낸 것으로 분석됐다. 국내외 부동산 및 대체투자 관련 손상차손과 대출채권 평가 및 처분손실 선반영 등 보수적 회계처리 영향을 받았다.
김 연구원은 “그럼에도 대형사 중에서 삼성증권은 해외 상업용부동산 및 대체투자, 국내 부동산PF 브릿지론 노출 위험이 상대적으로 가장 적은 수준이다”고 평가했다.
삼성증권의 지난해 지배주주 순이익은 5856억 원으로 추정됐다. 2022년보다 38.7% 증가하는 것이다.
김 연구원은 “국내외 부동산 및 투자자산 우려가 지속되고 있는 상황에서 삼성증권은 위험도가 상대적으로 크지 않아 리스크가 제한적이다”며 “리테일(개인금융) 중심의 영업기반을 감안하면 향후에도 안정적 이익실현이 가능할 전망이다”고 말했다. 김태영 기자
김인 BNK투자증권 연구원은 10일 삼성증권의 투자의견 ‘매수’, 목표주가 4만5천 원을 유지했다.

▲ 삼성증권이 안고 있는 부동산 리스크는 제한적인 것으로 파악됐다.
전날 삼성증권 주가는 3만6850원에 장을 마감했다.
지난해 4분기 삼성증권은 1764억 원의 수수료이익을 거둔 것으로 추정됐다. 1년 전과 비교해 25% 증가하는 것이다.
2022년도 4분기 일평균 거래대금은 13조 원이었으나 지난해 4분기엔 16조5천억 원까지 증가하면서 수탁수수료가 늘어난 것으로 분석된다.
한편 지난해 4분기 이자이익은 1673억 원으로 20% 증가한 것으로 추산됐다.
김 연구원은 “신용융자 잔고가 소폭 확대됐으며 특히 조달부담 축소에 따른 마진율 상승, 수익성 중심의 자금운용도 지속됐다”고 말했다.
다만 지난해 4분기 기타관련손익에선 508억 원의 적자를 낸 것으로 분석됐다. 국내외 부동산 및 대체투자 관련 손상차손과 대출채권 평가 및 처분손실 선반영 등 보수적 회계처리 영향을 받았다.
김 연구원은 “그럼에도 대형사 중에서 삼성증권은 해외 상업용부동산 및 대체투자, 국내 부동산PF 브릿지론 노출 위험이 상대적으로 가장 적은 수준이다”고 평가했다.
삼성증권의 지난해 지배주주 순이익은 5856억 원으로 추정됐다. 2022년보다 38.7% 증가하는 것이다.
김 연구원은 “국내외 부동산 및 투자자산 우려가 지속되고 있는 상황에서 삼성증권은 위험도가 상대적으로 크지 않아 리스크가 제한적이다”며 “리테일(개인금융) 중심의 영업기반을 감안하면 향후에도 안정적 이익실현이 가능할 전망이다”고 말했다. 김태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