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2일 충남 보령시 호텔 쏠레르에서 열린 ‘제5회 탄소중립·녹색성장 권역별포럼’에서 권이균 공주대 교수가 발표를 하고 있다. <비즈니스포스트> |
[보령=비즈니스포스트 이상호 기자] 충청남도가 CCUS(탄소 포집, 활용, 저장)으로 ‘탄소중립경제 특별도’를 실현을 위한 해법을 모색했다.
22일 충남 보령시 호텔 쏠레르에서 충청남도의 탄소중립·녹색성장 추진방안을 놓고 ‘제5회 탄소중립·녹색성장 권역별포럼’이 열렸다.
탄소중립·녹색성장 권역별포럼은 대통령직속 2050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탄녹위)가 지역별로 순회하며 진행하고 있는 포럼으로 이번 포럼은 충청남도와 함께 개최했다.
충청남도는 전국 화력발전의 절반이 위치해 광역 지자체 가운데 온실가스 배출량이 가장 많은 지역이다. 2021년 발표한 지역별 온실가스 인벤토리에 따르면 지자체 중 온실가스를 총배출량이 가장 높은 지역은 충청남도로 1억6천107만tCO₂eq(톤당 이산화탄소 상당량)에 달했다.
탄소중립이라는 세계적 흐름에 발맞추기 위해 충청남도는 지난해 10월 ‘탄소중립경제 특별도’ 실현을 선언한 뒤 탄소순환형 산업단지 조성, 국제수소항만 조성, 그린에너지 소부장 산업 육성 등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전형식 충청남도 정무부지사는 개회사를 통해 "산업분야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가 가장 많은 충청남도는 탄소포집 및 활용, 저장 기술을 통해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활용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이번 포럼이 충청남도의 탄소포집, 활용, 저장 기술의 확산과 활용을 위한 구체적 방안을 마련하는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날 포럼에서는 충청남도가 지자체 차원은 물론 한국 전체의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CCUS에서 중요한 지역이라는 점이 강조됐다.
한국 CCUS추진단 단장을 맡고 있는 권이균 공주대 교수는 주제발표를 통해 “보령, 대산, 당진 등 충남 지역에는 국내 최대 탄소배출원이 밀집해 있다”며 “충청남도는 한국의 CCUS 전략에서도 핵심 지역이 될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탄소 배출원은 반대로 바라보면 탄소의 포집원이 된다. 포집원이 밀집돼 있다는 점은 탄소의 포집, 운반을 위한 시설을 집적해 조성하기 유리한 만큼 경제성 등 측면에서 유리할 수 있다.
권 교수는 “한국의 CCUS 추진 전략은 클러스터(집적화단지)를 구성해야 경쟁력을 갖출 수 있다”며 “충청남도에 밀집된 발전소, 석유화학단지 등은 CCUS 클러스터를 조성하는 데 유리한 조건”이라고 말했다.
다만 CCUS와 관련해 국내 법령의 정비가 필요하다는 점이 앞으로 풀어가야 할 과제로 지적됐다.
권 교수는 “국내 법령을 살펴보면 아직 CCUS와 관련해서는 미비하거나 충돌하는 부분이 많다”며 “현재 여야 합의로 CCUS 통합법 제정이 추진 중이나 내년 중에 진행될 하위 법령 마련 과정에서 기업 지원 등 실질적 내용을 마련하는 일도 중요하다”고 말했다.
▲ 22일 충남 보령시 호텔 쏠레르에서 열린 ‘제5회 탄소중립·녹색성장 권역별포럼’에서 이호섭 한국석유공사 CCS 사업팀장이 발표하고 있다. <비즈니스포스트> |
CCUS가 앞으로 기업들에게 유망한 사업 기회가 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왔다.
이호섭 한국석유공사 CCS 사업팀장은 “2050년까지 CCUS 시장은 50억 달러(약 6조5천억 원) 규모로 성장할 것”이라며 “CCUS 시장 규모 가운데 절반 가량이 EPCI(설계, 구매, 시공, 설치) 비용이 될 것이고 관련 기업에는 그만큼 사업 기회”라고 말했다.
해외에서는 이미 CCUS 시장이 급격하게 성장하고 있다는 점도 강조했다.
이 팀장은 “아직 제대로 활성화되지 않은 국내와 달리 해외에서는 CCUS 관련해 미국, 유럽 등을 중심으로 한 달에 한 개 이상의 프로젝트가 나올 정도로 성장하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 국내 기업들도 CCUS 시장의 확대에 맞춰 적극적으로 대비하고 있다.
정준교 현대건설 미래사업연구실장은 “현대건설은 지난해 10월에 국내 상장사 최초로 탄소중립 이행 계획을 공표한 바 있다”며 “습식 포집, 분리막 포집, VSA 포집 등 탄소 포집의 주요 3가지 기술을 놓고 각종 실증 사업 등을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기업들이 CCUS 시장에서 사업 기회를 만들 수 있도록 배기가스 중 이산화탄소 처리비용을 제도화 하는 등 제도적 뒷받침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이상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