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금융감독원이 기업공개(IPO) 등 대형 이벤트가 있을 때마다 전산이 마비되는 상황 등을 방지하기 위해 안전 가이드라인을 마련했다.

금감원은 금융투자협회·생명보험협회·손해보험협회·여신금융협회·은행연합회 등 7개 협회·중앙회와 공동으로 ‘금융 IT 안전성 강화를 위한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 금융권 전산사고의 주요 원인인 프로그램 오류, 비상대책, 성능관리 부분에 대해 기준을 제시한다고 8일 밝혔다.
 
IPO 때마다 전산 먹통 막는다, 금감원 '금융 IT 안전성 강화 가이드라인' 마련

▲ 금감원은 금융투자협회 등과 ‘금융 IT 안전성 강화를 위한 가이드라인’을 마련했다.


먼저 이용자 집중으로 증권사 모바일 트레이딩 시스템(MTS), 홈 트레이딩 시스템(HTS)이 지연, 중지되는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금융사가 전산자원 사용량 임계치를 4단계(정상→주의→경계→심각)로 구분하고 경계 및 심각 징후 발생 시 즉각 설비를 증설하도록 했다.

IPO 등 대형 이벤트는 기획 단계부터 고객 수요를 예측하고 시스템 처리능력을 검증하도록 해 사용량이 집중돼 발생하는 사고를 사전에 대비하도록 했다.

금융사는 화재 등 비상 상황이 발생했을 때 전자금융서비스가 장기간 중단되는 사고를 막기 위해 IT부문 비상 대책을 수립해야 한다.

특히 금융사는 주 전산센터가 마비되더라도 핵심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재해복구센터 인프라(DB·서버·통신망 등)를 충분히 확보해야 한다.

프로그램을 변경하는 과정에서 모바일 뱅킹 등 전자금융서비스가 중단되는 일을 예방하기 위한 방안도 마련됐다. 금융사는 프로그램 변경 시 충분한 테스트를 실시하고 개발·변경 내용 검증을 위한 별도 조직을 구성해야 한다.

이번에 마련된 가이드라인은 7개 금융협회·중앙회별 자체 심의, 보고 등의 내부 절차를 거친 뒤 올해 안으로 시행된다. 

금감원 관계자는 “이번 가이드라인을 통해 금융회사의 IT 운영 능력과 복원력이 제고될 것”이라며 “증권사 MTS, HTS 접속 지연 등 서비스 중단 사고도 크게 감소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차화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