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악성 미분양’으로 불리는 준공후미분양 물량이 다시 늘어 2년6개월 만에 최대를 기록했다.
전체 미분양 주택은 7개월 연속 감소하며 6만 세대 아래로 떨어졌다.
국토교통부가 31일 발표한 주택통계를 보면 9월 전국 미분양물량은 5만9806세대로 집계됐다. 8월(6만1811세대)와 비교해 3.2%(2005세대) 감소했다.
지역별 미분양 물량을 보면 수도권은 7672세대로 전월(7676세대)보다 0.1%(4세대), 비수도권은 5만2134세대로 전월(5만4135세대)와 견줘 3.7%(2001세대) 줄었다.
주택규모별로 보면 85㎡ 초과 미분양 물량은 8201세대로 전월(7970세대)보다 2.9% 늘었다. 반면 85㎡ 이하 물량은 5만1605세대로 전월(5만3841세대)와 비교해 4.2% 줄었다.
9월 준공후미분양은 9513세대로 전월(9392세대)보다 1.3%(121세대) 늘었다. 2021년 3월 9965세대 이후 가장 많은 수준이다.
준공후미분양 물량은 아파트 단지조성이 끝나 즉시 입주가 가능한 시점까지 분양이 이뤄지지 않은 세대인데 악성재고로 평가된다. 주택시장을 파악하는 데 미분양 주택물량보다 더욱 중요한 지표로 여겨진다.
9월 주택 매매거래량(신고일 기준)은 4만9448건으로 집계됐다. 8월보다 4.1% 감소했고 전년 같은 기간과 비교해 52.6% 증가했다.
수도권 주택 매매거래량은 2만2741건으로 조사됐다. 7월보다 2.3% 줄고 전년 같은 기간과 견줘 80.4% 늘었다.
비수도권 주택 매매거래량은 2만6707건으로 나타났다. 7월과 비교해 5.6% 감소했고 전년 같은 기간보다는 34.9% 증가했다.
전국 주택 인허가 물량은 증가세를 보였다.
9월 기준 전국 주택 인허가는 4만43114세대로 전월(5479세대)보다 686.9% 급증했고 전년 같은 기간(3만2742세대)와 비교해 31.7% 증가했다.
올해 9월까지 누적기준으로 보면 25만5871세대로 전년 같은 기간(38만200세대)과 견줘 32.7%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류수재 기자
전체 미분양 주택은 7개월 연속 감소하며 6만 세대 아래로 떨어졌다.

▲ 준공후미분양 물량이 다시 늘고 있다. 서울 지역 아파트 모습. <연합뉴스>
국토교통부가 31일 발표한 주택통계를 보면 9월 전국 미분양물량은 5만9806세대로 집계됐다. 8월(6만1811세대)와 비교해 3.2%(2005세대) 감소했다.
지역별 미분양 물량을 보면 수도권은 7672세대로 전월(7676세대)보다 0.1%(4세대), 비수도권은 5만2134세대로 전월(5만4135세대)와 견줘 3.7%(2001세대) 줄었다.
주택규모별로 보면 85㎡ 초과 미분양 물량은 8201세대로 전월(7970세대)보다 2.9% 늘었다. 반면 85㎡ 이하 물량은 5만1605세대로 전월(5만3841세대)와 비교해 4.2% 줄었다.
9월 준공후미분양은 9513세대로 전월(9392세대)보다 1.3%(121세대) 늘었다. 2021년 3월 9965세대 이후 가장 많은 수준이다.
준공후미분양 물량은 아파트 단지조성이 끝나 즉시 입주가 가능한 시점까지 분양이 이뤄지지 않은 세대인데 악성재고로 평가된다. 주택시장을 파악하는 데 미분양 주택물량보다 더욱 중요한 지표로 여겨진다.
9월 주택 매매거래량(신고일 기준)은 4만9448건으로 집계됐다. 8월보다 4.1% 감소했고 전년 같은 기간과 비교해 52.6% 증가했다.
수도권 주택 매매거래량은 2만2741건으로 조사됐다. 7월보다 2.3% 줄고 전년 같은 기간과 견줘 80.4% 늘었다.
비수도권 주택 매매거래량은 2만6707건으로 나타났다. 7월과 비교해 5.6% 감소했고 전년 같은 기간보다는 34.9% 증가했다.
전국 주택 인허가 물량은 증가세를 보였다.
9월 기준 전국 주택 인허가는 4만43114세대로 전월(5479세대)보다 686.9% 급증했고 전년 같은 기간(3만2742세대)와 비교해 31.7% 증가했다.
올해 9월까지 누적기준으로 보면 25만5871세대로 전년 같은 기간(38만200세대)과 견줘 32.7%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류수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