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완성차회사들이 ‘2021년 완전 자율주행차 상용화’를 목표로 개발 경쟁에 뛰어들고 있다.
그러나 자율주행기술의 안정성에 대한 우려는 극복해야 할 과제로 남아있다.
현대차그룹 산하 글로벌경영연구소는 22일 보고서를 통해 세계 완성차회사들의 완전 자율주행차 개발 계획 및 현황을 점검했다.
|
|
|
▲ 마크 필즈 포드 최고경영자. |
포드는 최근 세계 완성차회사 가운데 최초로 2021년까지 완전 자율주행차를 출시한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이 계획의 요지는 핸들, 가속페달, 브레이크가 없고 운전자가 필요없는 완전 자율주행차를 개발해 카헤일링이나 카셰어링 서비스에 우선 투입한다는 것이다.
카헤일링(car-hailing)이란 차량이 필요한 소비자와 차량을 제공하는 사업자를 실시간으로 연결해주는 서비스를 말한다. 기존의 카셰어링(car-sharing)이 제공자에 초점을 맞췄다면 소비자로 관심을 옮겨온 개념이다.
포드는 현재 완전 자율주행차 개발을 위해 4개 스타트업 기업과 협력하고 있다.
감지 및 인공지능 기술 개발 회사인 사입스(SAIPS)를 인수했고 자율주행차 레이더센서 개발회사인 벨로다인과 3D 지도 개발회사인 시빌맵스(Civil Maps)에 투자하고 있다. 또 영상정보처리회사인 니렌버그뉴로사이언스(Nirenberg Neuroscience)의 배타적 라이선스도 확보했다.
포드는 팔로알토연구소에서 자율주행차 기술을 개발 중인데 연구인력을 현재 130여 명에서 2017년까지 2배로 늘리기로 했다.
마크 필즈 포드 최고경영자는 “2020년대에 자율주행차가 우리 사회의 안전을 향상시키고 사회적 문제를 해결할 것”이라며 “이는 고급차에서만 가능한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포드가 완전 자율주행차 개발 경쟁에서 앞서나가고 있는 형국이지만 다른 완성차회사들도 잇따라 완전 자율주행차 개발 계획을 구체화하면서 개발 경쟁이 가속화하고 있다.
BMW는 7월 인텔, 모빌아이와 협력하여 2021년까지 완전 자율주행차 상용화를 목표하는 공동개발계획을 발표했다. 인텔은 자율주행 하드웨어 기술 개발을, 모빌아이는 도로경험관리 등 소프웨어 기술 개발 담당하게 된다.
볼보도 우버와 손잡고 2021년까지 완전 자율주행차를 판매한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볼보는 자율주행에 사용할 차량을, 우버는 3D 지도 기술을 개발한다. 우버가 최근 인수한 자율주행트럭 개발회사인 오토(OTTO)도 자율주행기술도 활용한다.
폴크스바겐그룹은 고급차 브랜드인 아우디를 통해 완전 자율주행차를 개발해 2021년까지 자율주행차 셰어링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이를 위해 지난 5월 우버의 경쟁회사로 꼽히는 게트(Gett)에 3억달러를 투자했다.
글로벌경영연구소는 “향후 완성차회사 간 자율주행차 주도권 경쟁과 함께 차량공유 서비스와 밸류체인 확대경쟁이 가속화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
|
|
▲ 기아자동차가 2016년 6월2일 부산 벡스코에서 '2016 부산국제모터쇼' 언론 공개행사가 열린 가운데 '쏘울 EV 자율주행차'를 선보이고 있다. <뉴시스> |
현대자동차그룹은 해외 완성차업체에 비하면 완전 자율주행차 경쟁에서 다소 뒤처져있다.
현대차그룹은 2020년까지 운전자의 개입이 필요한 부분 자율주행차를 상용화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완전 자율주행차 상용화 시점은 2030년으로 잡고 있다.
그러나 세계 완성차회사들의 완전 자율주행차 개발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현대차그룹도 완전 자율주행차 상용화 시점을 앞당길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완전 자율주행차는 이동 중 생산적인 업무가 가능하고 사람의 실수로 인한 교통사고를 줄일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그러나 자율주행기술의 안전성에 대한 우려가 완전히 해소된 것은 아니다.
구글의 자율주행차는 3D 지도 미비 및 긴급상황 등으로 인해 주행거리의 20% 가량은 운전자 모드로 주행해야 한다. 지난 5월 테슬라 운전자가 자율주행모드 상태에서 인식 오류로 인한 사고로 사망하면서 자율주행 기술에 대한 불안감이 커졌다. 또 자율주행 시스템 특성상 사생활 침해와 해킹 등의 문제가 도사리고 있다.
포스코경영연구원은 최근 ‘자율주행자동차를 둘러싼 논란’이라는 보고서에서 “자율주행차 확산은 소비자 인식전환, 기술의 경제성, 안전성 입증과 관련 법규 정비 진행 정도에 따라 그 속도가 결정될 것”이라며 “상당수 연구에서 자율주행차, 공유경제에 의한 자동차 수요성장세 위축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어 관련업계는 이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임수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