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윤호 기자 uknow@businesspost.co.kr2023-08-28 15:22:45
확대축소
공유하기
[비즈니스포스트] 미국 금융당국의 긴축 종료에 대한 기대감이 퍼지면서 가상화폐 가격이 상승세로 돌아설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28일 가상화폐업계에 따르면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이 최근 금리 인상을 할 수 있다는 말을 하기도 했지만 실제로 금리를 인상할 가능성은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 제롬 파월 미 연방준비제도 의장이 금리 인상 가능성에 관해 모호하게 말했지만 가상화폐업계에서는 향후 금리 인상 가능성을 낮게 바라본다. 사진은 제롬 파월 미 연방준비제도 의장. <연합뉴스>
제롬 파월은 25일(현지시각) 미국 와이오밍주 잭슨홀에서 열린 심포지엄에서 “물가 상승이 억제되고 있지만 아직 너무 높은 수준이다”며 “적절하다면 금리를 더 올릴 준비가 됐다”고 말했다.
제롬 파월은 “성장이 지속적으로 추세를 넘어선다는 증거가 나온다면 이는 물가 상승에 관한 우리 성과를 위협에 빠뜨릴 수 있다”며 “현재 (금리) 정책은 경제 활동 하방 압력을 가하며 고용과 인플레이션을 둔화할 제약적 수준으로 본다”고 강조했다.
금리 인상에 관해 모호한 발언을 하면서도 금리 인상을 하지 않을 조건으로는 고용 둔화를 꼽았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26일(현지시각) 미국의 고용 지표 등이 둔화할 것으로 전망돼 물가 상승 억제를 위한 금리 인상이 경제를 해칠 수 있을 것으로 바라봤다.
월스트리트저널에 따르면 8월 기준 미국 비농업 부문 신규 고용은 16만5천 명으로 예상됐다. 7월 증가치보다 11.76%(18만7천 명) 감소했다. 이처럼 고용이 둔화하고 있다는 점에서 미국 연준은 금리를 인상하지 않을 것으로 여겨진다.
이에 가상화폐업계에서는 금리 인상 둔화로 비트코인 등 가상화폐가 투자 자산으로 선호가 높아질 것으로 바라본다.
최근 비트코인 가격은 블랙록 등 자산운용사들의 비트코인 현물 상장지수펀드(ETF) 출시를 기다리며 가격 정체에 머물러 있다. 현재 비트코인 가격은 약 3500만 원대를 유지하고 있다.
비트코인 등 가상화폐 가격은 위험자산 선호 심리의 시그널로 꼽힌다.
가상화폐업계에서는 최근 보이는 비트코인 가격 정체가 향후 상승 모멘텀 발생에 따른 가격 상승을 기대하며 대기하고 있는 투자자들이 많기 때문으로 바라본다.
▲ 미 금융당국의 긴축 완화에 따라 향후 가상화폐 가격이 상승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사진은 비트코인 가상 이미지.
최근 비트코인 가격은 시세에 비우호적인 소식에도 불구하고 큰 하락 없이 정체하고 있다.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는 최근 가상화폐 리플의 증권성 여부를 두고 리플 운영사 리플랩스와 벌이는 소송의 항소를 결정했다. 이에 리플랩스 등 가상화폐업계와 규제 당국 사이 갈등이 확산하고 있다.
18일 일론 머스크의 항공우주 장비 회사 스페이스X의 약 5천억 원에 달하는 보유 비트코인 매각, 22일 세계 최대 가상화폐 거래소 바이낸스의 유럽 일부 지역 인출 중단 소식 등이 이어졌다.
가상화폐업계에서는 비트코인 가격이 하락할 수 있을 여러 소식에도 불구하고 비트코인 가격이 3500만 원대를 계속 유지하는 이유로 투자자들이 상승 폭이 더 클 위험자산 선호 때문으로 바라본다.
이에 미국 금융당국의 금리 인상 완화 소식이 가상화폐 투자 증가로 이어지며 가격 상승을 불러올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향후 미국 증권거래위원회의 비트코인 현물 상장지수펀드 상장 신청 승인, 미국 대통령 선거에 맞춰 대선 후보들의 가상화폐업계를 끌어안기 위한 공약, 리플랩스의 소송 승소 등 비트코인의 투자 가치가 더 상승할 사건들이 이어진다면 2024년 4월 반감기를 앞두고 3만5500달러(약 4700만 원)까지 상승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금리 완화를 신호로 비트코인 등 가상화폐 가격이 무조건 상승할 것으로만 바라볼 수 없다.
최근 중국 경제가 크게 위축됐다는 소식이 전해졌으며 리플의 증권성을 둔 판결에서도 리플랩스가 패소할 수 있다.
중국 경제 위기는 전 세계적으로 번질 수 있으며 리플의 증권성 판결 패소는 대부분의 알트코인의 규제가 강화해 거래가 위축될 수 있는 사건이 될 수 있다. 조윤호 기자
코로나19 여파로 풀린 유동성을 흡수했던 주요국 중앙은행들의 정책 변화 기류가 감지되고 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는 물가상승률이 목표치에 도달하지 못했다면서도 과도한 긴축경계론이 비등해지는 상황을 의식하며 오는 9월을 기점으로 한 기준금리 인상 중단을 저울질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금리인상 중단 나아가 인하로의 정책 변화가 가져올 나비효과에 대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특히 중국발 경기침체 그림자가 드리워지면서 장기침체 시나리오(L자형, 상저하저)에 시의적절한 통화관리로 대응해야 한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비즈니스포스트가 긴축 막바지에 다다른 국내외 정책당국, 시장, 업계의 분위기를 짚어보고자 한다. <편집자 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