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용 체제의 완성을 위한 삼성그룹의 지배구조 개편이 경영권 승계를 준비하는 현대차그룹 한화그룹 CJ그룹 롯데그룹 등의 기준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삼성그룹이 경영권 승계에 대한 시장의 동의를 얻기 위해 주주친화정책을 확대하고 있는 만큼 주요 그룹들도 이를 따를 가능성이 높아 재계에 주주친화정책의 전환점이 될 것으로 분석된다.
◆ 삼성그룹, 지배구조 개편의 가이드라인
윤태호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18일 “삼성그룹의 지배구조 개편 이후 재벌의 주주친화정책이 변화할 것”이라며 “삼성그룹의 지배구조 개편과정이 지배구조 개편을 준비하고 있는 주요그룹에 기준점이 될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
|
|
▲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
삼성전자는 2015년 자사주 11조3천억 원 규모를 매입 후 소각하고 16.3%의 높은 배당성향을 나타내는 등 주주친화정책을 펼치고 있다. 2015년 순이익 대비 주주환원율은 76.9%로 매우 높다.
삼성전자의 이런 움직임은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으로 경영권을 승계하는 과정에서 지배구조 개편에 대한 주주의 동의를 얻기 위한 것으로 여겨진다.
이 부회장의 경영권 승계를 완성하는 과정에서 삼성전자는 더욱 적극적인 주주친화정책을 내놓을 가능성이 더욱 높다.
삼성전자의 이런 주주친화 행보를 주요 그룹들도 따라갈 것으로 보인다. 경영권 승계를 위한 지배구조 개편을 수월하게 진행하려면 주주들의 지지가 절대적으로 필요하기 때문이다.
삼성전자가 2015년 주주환원율을 높인 것처럼 현대차와 CJ, LG 등도 주주환원율이 높아졌다.
현대차는 2014년 11.1%에서 2015년 19.5%로 8.4%포인트 올랐고 CJ는 12.9%에서 18.7%로 4.8%포인트, LG는 20.8%에서 24.2%로 3.4%포인트 증가했다.
윤 연구원은 “현대차그룹, 한화그룹, CJ그룹, 롯데그룹 등 경영권 승계가 이뤄지지 않은 대부분의 재벌은 삼성그룹의 최종 지배구조개편과 결과를 살펴본 뒤 경영권 승계를 진행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 현대차 한화 CJ 롯데, 주주친화정책 확대 가능성
현대자동차그룹이 삼성그룹처럼 주주친화정책을 적극 펼치고 있는 것은 정의선 현대차 부회장의 승계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현대자동차는 2015년 처음으로 중간배당을 실시했고 올해 초 주주총회에서 투명한 기업경영을 위해 기업지배구조헌장을 선포했다. 또 주주 권익보호를 위해 투명경영위원회를 두고 있다.
|
|
|
▲ 정의선 현대자동차 부회장. |
정의선 부회장은 2015년 현대차 지분을 2.28%로 늘리며 경영권 승계에 한발 더 다가섰다.
현대차그룹이 원샷법의 도움을 받아 지주사 체제로 전환하면서 정 부회장의 경영권 승계의 발판을 다질 것이라는 관측도 재계에서 나온다. 이런 작업에서 주주들의 동의는 반드시 필요하다.
한화그룹과 CJ그룹도 상황이 비슷하다. 두 그룹은 후계자들의 나이가 많지 않은 상황에서 지분 승계도 역시 대폭 이뤄지지 않았다. 후계자들이 그룹의 지주회사인 한화와 CJ의 지분을 늘리는 방향으로 지배구조 개편이 진행될 가능성이 크다.
한화그룹은 김승연 회장의 장남 김동관 한화큐셀 전무가 지분 50%를 보유한 한화S&C, CJ그룹은 이재현 회장의 장남 이선호 CJ제일제당 과장이 지분 15.84%를 보유한 CJ올리브네트웍스를 지배구조 개편의 지렛대로 활용할 것으로 보인다.
두 회사는 모두 비상장회사인데 앞으로 상장을 해 기업가치를 높이거나 지주사와 합병하는 방식으로 지배구조 개편이 이뤄질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하다.
삼성그룹이 제일모직(옛 삼성에버랜드), SK그룹이 SKC&C를 활용해 오너의 지배력을 확보한 방식과 비슷하다. 삼성그룹과 SK그룹이 합병과정에서 잡음이 있었던 점을 감안하면 한화그룹과 CJ그룹도 주주 설득 과정이 선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롯데그룹은 신동빈 회장이 신동주 부회장과 벌인 형제의 난에서 승리하면서 일본 롯데홀딩스에 대한 지배력을 확보했다. 하지만 신동빈 회장은 종업원지주회 등의 지원을 등에 업고 주총 표대결에서 승리했기 때문에 지배력을 완벽하게 장악했다고 안심하기에는 이르다.
롯데그룹은 앞으로 호텔롯데 상장 등을 통해 지배구조 개편을 위한 자금을 마련하고 한일 양국에 얽혀있는 복잡한 순환출자 고리를 해소해 나갈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검찰수사 등으로 롯데그룹에 대한 여론이 좋지 않은 상황이라 지배구조 개편 과정에서 주주 설득을 위해서도 주주친화정책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비즈니스포스트 김디모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