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비트코인 시세가 3800만 원대에 머물렀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인상에 주춤했던 비트코인 가격이 다시 회복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가상화폐 거래소 빗썸에서 4일 오후 3시40분 기준 비트코인은 24시간 전보다 1BTC(비트코인 3단위)당 1.65% 오른 3888만3천 원에 거래되고 있다.
빗썸에서 거래되는 시가총액 상위 10개 가상화폐 시세는 대부분 상승하고 있다.
이더리움은 1ETH(이더리움 단위)당 1.64% 오른 253만6천 원에, 바이낸스코인은 0.72% 상승한 43만5700원에 각각 사고 팔리고 있다.
이 밖에 리플(0.15%), 에이다(1.68%), 도지코인(0.95%), 폴리곤(2.00%), 솔라나(1.16%), 폴카닷(0.66%) 등은 24시간 전보다 높은 가격에 거래되고 있다.
반면 트론(-0.38%) 등은 24시간 전보다 낮은 가격에 매매되고 있다.
가상화폐 전문매체 코인데스크는 이날 “비트코인은 미국 연준의 0.25%포인트 금리 인상 이후 서서히 회복하고 있다”며 “비트코인은 금리 인상에 1% 하락했지만 오히려 1.3% 회복하며 2만9115달러(약 3854만 원)를 기록하고 있다”고 말했다.
앞서 4월 미국 대통령 선거 출마를 발표한 존 케네디 전 미국 대통령의 조카 로버트 케네디 주니어가 미국 가상화폐 채굴 과세에 반대했다.
로버트 케네디 주니어는 4일(현지시각)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비트코인을 필두로 한 가상화폐와 다른 가상화폐 기술은 주요 혁신 동력이다”며 “미국 정부가 산업을 방해하고 혁신을 다른 곳으로 몰아가는 것은 실수다”고 말했다.
그는 “바이든이 제안한 가상화폐 채굴에 관한 30% 세금은 나쁜 생각이다”고 강조했다.
미국 정부 경제자문위원회(CEA)는 최근 가상화폐 채굴 기업에 징벌적 과세를 검토하고 있다고 발표했다.
경제자문위원회는 “(가상화폐) 채굴업체로부터 발생한 비용에 30% 수준의 세금을 책정하는 것을 고려하고 있다”며 “가상화폐는 비슷한 전력 사용을 하는 기업만큼 이익을 내지 못하며 환경오염에 따른 추가 비용을 만들고 있다”고 말했다. 조윤호 기자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인상에 주춤했던 비트코인 가격이 다시 회복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 4일 오후 상위 10개 가상화폐 시세가 대부분 상승하고 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인상에 주춤했던 비트코인 가격이 다시 회복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사진은 비트코인 가상 이미지.
가상화폐 거래소 빗썸에서 4일 오후 3시40분 기준 비트코인은 24시간 전보다 1BTC(비트코인 3단위)당 1.65% 오른 3888만3천 원에 거래되고 있다.
빗썸에서 거래되는 시가총액 상위 10개 가상화폐 시세는 대부분 상승하고 있다.
이더리움은 1ETH(이더리움 단위)당 1.64% 오른 253만6천 원에, 바이낸스코인은 0.72% 상승한 43만5700원에 각각 사고 팔리고 있다.
이 밖에 리플(0.15%), 에이다(1.68%), 도지코인(0.95%), 폴리곤(2.00%), 솔라나(1.16%), 폴카닷(0.66%) 등은 24시간 전보다 높은 가격에 거래되고 있다.
반면 트론(-0.38%) 등은 24시간 전보다 낮은 가격에 매매되고 있다.
가상화폐 전문매체 코인데스크는 이날 “비트코인은 미국 연준의 0.25%포인트 금리 인상 이후 서서히 회복하고 있다”며 “비트코인은 금리 인상에 1% 하락했지만 오히려 1.3% 회복하며 2만9115달러(약 3854만 원)를 기록하고 있다”고 말했다.
앞서 4월 미국 대통령 선거 출마를 발표한 존 케네디 전 미국 대통령의 조카 로버트 케네디 주니어가 미국 가상화폐 채굴 과세에 반대했다.
로버트 케네디 주니어는 4일(현지시각)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비트코인을 필두로 한 가상화폐와 다른 가상화폐 기술은 주요 혁신 동력이다”며 “미국 정부가 산업을 방해하고 혁신을 다른 곳으로 몰아가는 것은 실수다”고 말했다.
그는 “바이든이 제안한 가상화폐 채굴에 관한 30% 세금은 나쁜 생각이다”고 강조했다.
미국 정부 경제자문위원회(CEA)는 최근 가상화폐 채굴 기업에 징벌적 과세를 검토하고 있다고 발표했다.
경제자문위원회는 “(가상화폐) 채굴업체로부터 발생한 비용에 30% 수준의 세금을 책정하는 것을 고려하고 있다”며 “가상화폐는 비슷한 전력 사용을 하는 기업만큼 이익을 내지 못하며 환경오염에 따른 추가 비용을 만들고 있다”고 말했다. 조윤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