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세계 금융시장에서 은행권의 신종자본증권 관련 우려가 커지고 있지만 국내 금융지주들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됐다.
정준섭 NH투자증권 연구원은 29일 “유럽 크레딧스위스(CS) 은행 사태로 신종자본증권 발행 우려가 확대되고 있다”며 “다만 국내 금융지주의 신종자본증권 관련 위험은 제한적이다”고 바라봤다.
▲ 세계 금융시장에서 은행권의 신종자본증권 관련 우려가 커지고 있지만 국내 금융지주들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됐다. |
스위스은행감독청은 최근 UBS가 크레딧스위스 은행을 인수하는 과정에서 신종자본증권의 하나로 분류되는 160억 프랑(약 22조 원) 규모의 AT1 채권을 상각 처리했다고 밝혔다.
신종자본증권은 만기가 정해져 있지만 발행사의 결정에 따라 연장할 수 있어 회계 상으로는 자본으로 인정된다. 발행사의 편의에 따라 자본을 조달할 수 있어 은행들은 신종자본증권을 많이 발행해 왔다.
그런데 크레딧스위스은행이 문을 닫는 과정에서 이 채권이 휴지조각이 된 것이다. 이에 따라 글로벌 금융시장에서는 채권시장에서 투자자들이 떠나는 것이 아니냐는 ‘본드런’ 목소리마저 나오고 있었다.
다만 국내 은행들이 신종자본증권을 새로 발행하기 어려운 여건이지만 자본비율 관리에는 어려움을 겪지 않을 것으로 전망됐다.
정 연구원은 “국내은행들은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기본자본(Tier 1) 비율에 큰 문제가 없을 것이다”며 “5대 금융지주의 Tier 1 비율은 13.6~14.9%로 요구 수준을 여유있게 충족한다”고 분석했다.
은행권의 손실흡수능력이 세계적 기준을 만족하고 있다는 이야기다. 하지만 금융당국의 건전성 규제는 유연히 진행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됐다.
금융당국은 앞서 미국 실리콘밸리은행이 파산한 뒤부터 은행권의 손실흡수능력을 높이기 위해 경기대응완충자본과 스트레스 완충자본 도입 등 건전성 제도 정비안을 내놨다.
정 연구원은 “지금 같은 때 은행권의 건전성 규제와 위험관리 강화는 당연하다”며 “다만 은행과 금융지주는 당장 자본 문제가 없어도 위험자산 관리를 강화할 수밖에 없어 강도 높은 자본규제 강화는 금융취약계층 자금공급기능 약화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고 바라봤다.
그러면서 “이에 따라 금융당국의 자본 규제 강화도 단계적으로 유연하게 진행될 것이다”고 덧붙였다. 김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