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삼성SDI가 GM과 미국에서 배터리 합작 공장을 짓기로 하면서 삼성SDI의 보수적 증설 전략에 변화가 나타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장 연구원은 "삼성SDI는 그동안 경쟁사와 비교해 증설에 소극적이었다"며 "이번 합작 결정이 보도대로 진행되면 시장에서는 삼성SDI의 향후 생산능력(캐파) 증설에 대한 긍정적 기대감을 키울 것"이라고 바라봤다.
 
삼성증권 "삼성SDI GM과 배터리 합작, 보수적 증설전략 변화 가능성"

▲ 삼성SDI가 GM과 미국에서 배터리 합작 공장을 짓기로 하면서 삼성SDI의 보수적 증설 전략에 변화가 나타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3일 장 마감 뒤 삼성SDI가 GM과 미국에 배터리 합작 공장을 짓는다는 보도가 나왔다. 삼성SDI는 GM과 8일 양해각서(MOU)를 체결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GM과 삼성SDI는 최대 5조 원을 투자해 연산 30~50GWh(기가와트시) 규모의 배터리 공장을 짓는다.

GM은 LG에너지솔루션과 배터리 합작사인 얼티엄셀즈를 구축하고 증설 계획을 진행해 왔으나 1월 말 4공장 건설 협상이 무산된 뒤 빠르게 삼성SDI를 공급선으로 끌어왔다.

이번 합작 뒤 삼성SDI의 전기차(EV)용 배터리 생산 능력은 2022년 50GWh에서 2026년 최소 172GWh로 3.4배 커지게 될 것으로 추정된다.

이번 증설은 앞서 1월 삼성SDI가 포스코케미칼과 장기 양극재 공급 계약을 맺은 주요 배경이었던 것으로 분석됐다.

삼성SDI는 1월 말 포스코케미칼과 10년 동안 40조 원 규모의 양극재 공급 계약을 맺었다. 해당 계약으로 삼성SDI는 양극재 연산 6만 톤을 조달받아 배터리 셀 기준 50GWh 규모 생산에 대응할 수 있다. 허원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