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주형환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6일 서울 서초구 팔래스호텔에서 열린 '석탄화력발전 대책회의'에 참석해 인사말을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
정부가 장기적으로 석탄발전의 비중을 줄이기로 했다.
정부는 노후화된 석탄발전소를 모두 폐지하는 한편 신규 석탄발전소 진입을 원칙적으로 제한해 기후변화 문제와 미세먼지 우려 등에 대처하기로 했다.
주형환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6일 서울 서초구 팔래스호텔에서 열린 석탄화력발전 대책회의에 참석해 “기후변화와 미세먼지에 대한 국민의 우려가 커지고 있어 하루빨리 저탄소·친환경에너지 중심으로 전력시스템을 바꿔야 할 시점”이라고 밝혔다.
주 장관은 “30년 이상 장기간 사용해 노후화된 석탄발전소는 과감히 정리하겠다”며 “노후발전소 폐지과정에서 전력수급안정과 인근지역 전력계통에 미치는 영향을 충분히 고려하겠다”고 덧붙였다.
정부는 2017년 영동 화력발전소를 시작으로 2025년까지 모두 10기, 330만 킬로와트(kW) 설비를 순차적으로 폐지하기로 했다. 서천화력 1·2호기, 삼천포화력 1·2호기, 호남화력 1·2호기, 보령화력 1·2호기, 영동화력 1·2호기 등 30년 이상 된 석탄발전소 10기가 수명 시점에 맞춰 폐지된다.
전체 발전설비에서 석탄발전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5년 28%에서 2029년 26.2%까지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주 장관은 “현재 가동하고 있거나 건설하고 있는 석탄발전소에 대해서 2030년까지 시설을 교체하는 등 모두 10조 원을 투자해 오염물질 배출을 줄이겠다”고 말했다.
가동된 지 20년이 지난 발전소 8기는 환경설비를 전면 교체해 성능을 대대적으로 개선하기로 했다. 터빈 등 주요부품을 교체하는데 1기당 1천 억~2500억 원이 들어갈 것으로 보인다.
20년 미만인 발전소 35기는 2단계에 걸쳐 오염물질 감축과 효율개선을 추진한다. 2019년까지 2400억 원을 투자해 순환펌프 용량을 늘리기로 했다.
정부는 현재 건설되고 있는 석탄화력발전소의 오염물질 배출도 줄일 수 있도록 조치하기로 했다. 공정률 90% 이상인 발전소 11기는 2~3배 강화된 오염물질 배출기준을 적용하고 공정률 10% 이하의 9기는 건설 단계부터 최고수준의 배출 저감시설을 확충하기로 했다.
오염물질 배출감소 정책으로 2030년에 2015년과 비교해 미세먼지는 24%, 황산화물은 16%, 질소산화물은 57%가 감축될 것으로 예상된다. [비즈니스포스트 남희헌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