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우리금융지주에 따르면 손 회장이 거취를 두고 고심을 이어가는 가운데 우리금융지주 이사회를 구성하던 사외이사인 박상용 이사회 의장과 노성태 사외이사도 올해 안으로 임기를 마치게 된다.
손태승 회장의 거취, 계열사 대표이사 추천 등 많은 의사결정 사항을 앞두고 이사회 구성까지 변동될 수 있게 된다.
박 의장과 노 이사는 29일을 마지막으로 사외이사 임기를 마친다. 또 다른 이사회 멤버인 정찬형 사외이사와 장동우 사외이사는 2022년 사업연도에 관한 정기 주주총회까지인 2023년 3월까지가 임기다.
남은 이사들은 임원추천위원회를 열고 임기를 마친 이사를 대신할 이사회 멤버를 구성해야 한다.
우리금융지주 이사회는 내년 1월에 손 회장의 거취를 논의할 것으로 보인다.
당초 금융업계에서는 12월에 있을 이사회에서 손 회장 거취를 논의할 것으로 예상했지만 이사회에서는 2023년으로 미루기로 했다고 밝혔다.
우리금융지주 이사회가 논의사항이 산적해 있는데도 기다리는 이유는 손 회장이 스스로 거취를 결정하기로 한 것을 존중하기 위해서인 것으로 보인다.
손 회장은 앞서 15일 파생결합펀드(DLF) 판매 관련 징계취소 소송에서 대법원으로부터 승소 판결을 받았다.
손 회장이 파생결합상품 징계가 최종적으로 취소되며 비슷한 내부통제문제로 얽힌 라임펀드 등에서도 소송을 통한 징계 취소를 노릴 수 있다는 관측이 나왔다.
앞서 손 회장은 11월25일 열린 이사회에서 사외이사들에게 거취 결정을 고민할 시간을 달라고 요청했다.
이에 사외이사진은 손 회장이 우리금융지주 회장으로 일하며 성장을 이끌고 있는 데다 우리금융지주의 디지털 부문과 비은행 부문 강화 등을 추진해온 성과를 감안해 손 회장의 요청을 존중하기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손 회장을 향한 금융당국의 압박은 계속 이어지고 갈수록 수위가 강해지고 있다.
김주현 금융위원장은 20일 서울 중구 은행연합회에서 열린 ‘제5차 금융규제혁신회의’에서 기자들과 만나 “(손 회장의 라임펀드 징계는) 금융당국이 논의를 거쳐 (제재) 결정을 내린 것이 명확한 정부의 뜻이다”며 “금융감독원뿐 아니라 금융위원회에서도 여러 차례 논의를 거쳐 일반 직원의 문제가 아니라 최고경영진까지도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이미 결론을 내린 사안이다”고 말했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21일 서울 중구 롯데호텔에서 열린 ‘사전지정운용제도 현장안착을 위한 퇴직연금 사업자 간담회’에서 기자들에게 “(손 회장의 징계는) 여러 번 논의해 사실상 만장일치로 결론 난 징계다”며 “저도 정례회의에 들어간 입장으로서 이견이 없다”고 강조했다.
금융당국의 이런 태도에 금융노조는 강하게 반발하며 거센 발언을 쏟아내고 있다.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은 22일 성명서를 통해 “금융위원장이 기자들에게 관치금융을 합리화하는 취지의 발언을 했다”며 “무책임과 낙하산 부작용 때문에 사회적으로 금기된 관치를 틀리지 않았다고 하는 뻔뻔함에 당혹을 넘어 분노가 치민다”고 말했다.
금융노조는 “금감원장이 손 회장의 사퇴를 압박하는 것도 상식적이지 않다”고 덧붙였다.
우리금융지주는 2023년을 코 앞에 두고 이사회와 계열사 대표 인사는 물론 다른 논의해야 할 사안들도 산적해 있다.
우선 당장 라임펀드 사태 대응은 손 회장의 거취와 연결됐고 독일 헤리티지펀드에 관한 대응도 논의해서 결론을 내야 한다.
금감원 분쟁조정위원회에서 독일 헤리티지펀드에 관해 100% 반환 결정을 내리며 우리은행이 223억 원에 달하는 금액을 전액 반환할지 아니면 조정에 들어갈지를 논의해야 한다.
2023년부터 매물이 나올 것으로 전망되는 증권사와 보험사 인수도 빠른 의사결정이 요구되는 사항이다.
글로벌 금리 인상과 경제적 어려움은 2023년에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증권사와 보험사가 매물로 나오게 되면 비은행 부문 강화가 절실한 우리금융지주로서는 빠른 논의와 의사결정이 필요하다.
금융업계 관계자는 “우리금융지주의 이사회에서 증권사 등 인수에 관한 논의를 해야 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인수 방향키를 쥐고 우리금융지주를 이끌어야 할 회장 자리는 빨리 안정화되는 것이 필수적이다”고 말했다. 조윤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