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비트코인을 비롯한 가상화폐 시세가 앞으로 하락세를 이어갈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는 전문 투자기관의 분석이 나왔다.
미국 증시가 앞으로 거시경제 환경 악화에 따라 약세장을 지속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증시와 큰 연관성을 보이는 가상화폐 시세도 뒤를 따를 수 있다는 것이다.
7일 가상화폐 전문지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비트코인 등 가상화폐 시세가 본격적으로 회복세를 탈 수 있다는 일부 투자자들의 전망에 반대되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가상화폐 전문 투자기관 QCP캐피털은 보고서를 내고 “미국 채권수익률은 주식 및 가상화폐시장 전망을 예측하는 데 중요한 지표”라며 “이들은 서로 반대되는 흐름을 나타내 왔다”고 분석했다.
QCP캐피털에 따르면 미국 채권수익률은 앞으로 기준금리 인상 등 거시경제 측면의 영향을 받아 상승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주식과 가상화폐 등 위험자산으로 꼽히는 자산 가치가 상대적으로 낮아질 수 있다는 의미다.
QCP캐피털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기준금리를 5% 이상으로 높이겠다고 예고하면서 미국 증시와 가상화폐시장에 모두 악재가 찾아오고 있다고 내다봤다.
자연히 주요 가상화폐 시세가 앞으로 반등하기 어려운 환경에 놓일 것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미국 증시와 가상화폐 시세는 일반적으로 매우 연관성이 큰 흐름을 보인다. 올해 초부터 동시에 이어진 증시 약세와 비트코인 등 가상자산 시세 하락이 근거로 꼽힌다.
QCP캐피털은 연준이 내년에도 금리인상 기조를 지속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는 점도 앞으로 위험자산으로 분류되는 투자자산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바라봤다.
미국 증시가 현재 상장기업의 실적 등 펀더멘털을 웃도는 상태에서 거래되고 있다는 점도 증시와 가상화폐 시세의 동반 하락세가 재현될 가능성에 힘을 싣는다.
QCP캐피털은 “미국 연준은 수십 년 만에 가장 공격적 수준의 긴축 통화정책을 앞세우고 있다”며 “현재 주식시장은 거시경제 상황 개선 가능성을 너무 일찍 반영해 거래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김용원 기자
미국 증시가 앞으로 거시경제 환경 악화에 따라 약세장을 지속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증시와 큰 연관성을 보이는 가상화폐 시세도 뒤를 따를 수 있다는 것이다.

▲ 비트코인 등 주요 가상화폐 시세가 반등하기 쉽지 않은 환경에 놓일 것이라는 투자기관의 분석이 나왔다. 비트코인 그래픽 이미지.
7일 가상화폐 전문지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비트코인 등 가상화폐 시세가 본격적으로 회복세를 탈 수 있다는 일부 투자자들의 전망에 반대되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가상화폐 전문 투자기관 QCP캐피털은 보고서를 내고 “미국 채권수익률은 주식 및 가상화폐시장 전망을 예측하는 데 중요한 지표”라며 “이들은 서로 반대되는 흐름을 나타내 왔다”고 분석했다.
QCP캐피털에 따르면 미국 채권수익률은 앞으로 기준금리 인상 등 거시경제 측면의 영향을 받아 상승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주식과 가상화폐 등 위험자산으로 꼽히는 자산 가치가 상대적으로 낮아질 수 있다는 의미다.
QCP캐피털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기준금리를 5% 이상으로 높이겠다고 예고하면서 미국 증시와 가상화폐시장에 모두 악재가 찾아오고 있다고 내다봤다.
자연히 주요 가상화폐 시세가 앞으로 반등하기 어려운 환경에 놓일 것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미국 증시와 가상화폐 시세는 일반적으로 매우 연관성이 큰 흐름을 보인다. 올해 초부터 동시에 이어진 증시 약세와 비트코인 등 가상자산 시세 하락이 근거로 꼽힌다.
QCP캐피털은 연준이 내년에도 금리인상 기조를 지속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는 점도 앞으로 위험자산으로 분류되는 투자자산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바라봤다.
미국 증시가 현재 상장기업의 실적 등 펀더멘털을 웃도는 상태에서 거래되고 있다는 점도 증시와 가상화폐 시세의 동반 하락세가 재현될 가능성에 힘을 싣는다.
QCP캐피털은 “미국 연준은 수십 년 만에 가장 공격적 수준의 긴축 통화정책을 앞세우고 있다”며 “현재 주식시장은 거시경제 상황 개선 가능성을 너무 일찍 반영해 거래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김용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