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부동산 관련 대출을 받은 사람들 10명 가운데 7명은 지난해보다 대출 이자 부담이 늘어났다고 답했다.
부동산플랫폼 직방이 지난 10월18일부터 15일 동안 948명을 대상으로 이자부담이 늘어났는지 설문조사를 벌인 결과 70.7%가 이자가 증가했다는 답변을 내놨다고 14일 밝혔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인천(79.4%), 서울(78.5%), 경기(70.4%)순으로 이자 부담이 늘었다는 응답 결과를 보여 비수도권보다 수도권 거주자들이 이자부담을 더 크게 느끼는 것으로 조사됐다.
대출 이자율을 살펴보면 연 3% 미만의 비중이 21.7%로 가장 높았다. 이자율 구간별로 보면 3~3.5% 미만 14.3%, 3.5~4% 미만 17.3%, 4~4.5% 미만 11.7%, 5~5.5% 미만 8.4%, 5.5~6% 미만 5.1%, 6% 이상 12.5% 등으로 집계됐다.
부동산 관련 매입, 전세금, 임대료 마련을 위해 대출을 받은 응답자는 41.4%로 나타났다.
대출을 받은 가장 큰 이유는 부동산 매입이 54.3%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이 밖에 전·월세 보증금(37.5%), 투자목적(6.6%), 기타(1.5%) 등으로 조사됐다.
부동산 대출 금액은 1억~3억 원 미만이 42.9%를 차지했다. 이어 5천만~1억 원 미만 24.7%, 5천만 원 미만 17.3%, 3억~5억 원 미만 9.9%, 5억~7억 원 미만 3.3%, 10억 원 이상 1.3%, 7억~10억 원 미만 0.5% 등으로 집계됐다.
부동산 관련 대출이 없다고 응답한 556명을 대상으로 대출 계획이 있는지 묻는 질문에 56.5%가 있다고 대답했다.
대출 계획이 있는 응답자 가운데 69.1%는 고정금리형을 선택하겠다고 대답했다. 혼합형은 18.8%, 변동금리형은 12.1%로 조사됐다. 이는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올릴 것으로 예상됨에 따른 것으로 풀이됐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 랩장은 “대출규제완화, 규제지역 해제에도 불구하고 이자부담이 커졌다”며 “당분간 매매시장은 투자목적보다 실거주 위주로 움직일 것이다”고 말했다. 류수재 기자
부동산플랫폼 직방이 지난 10월18일부터 15일 동안 948명을 대상으로 이자부담이 늘어났는지 설문조사를 벌인 결과 70.7%가 이자가 증가했다는 답변을 내놨다고 14일 밝혔다.

▲ 부동산플랫폼 직방이 벌인 여론조사에서, 부동산 관련 대출을 받은 사람들 10명 가운데 7명은 지난해보다 대출 이자 부담이 늘어났다고 답했다. 사진은 서울 지역 아파트.
지역별로 살펴보면 인천(79.4%), 서울(78.5%), 경기(70.4%)순으로 이자 부담이 늘었다는 응답 결과를 보여 비수도권보다 수도권 거주자들이 이자부담을 더 크게 느끼는 것으로 조사됐다.
대출 이자율을 살펴보면 연 3% 미만의 비중이 21.7%로 가장 높았다. 이자율 구간별로 보면 3~3.5% 미만 14.3%, 3.5~4% 미만 17.3%, 4~4.5% 미만 11.7%, 5~5.5% 미만 8.4%, 5.5~6% 미만 5.1%, 6% 이상 12.5% 등으로 집계됐다.
부동산 관련 매입, 전세금, 임대료 마련을 위해 대출을 받은 응답자는 41.4%로 나타났다.
대출을 받은 가장 큰 이유는 부동산 매입이 54.3%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이 밖에 전·월세 보증금(37.5%), 투자목적(6.6%), 기타(1.5%) 등으로 조사됐다.
부동산 대출 금액은 1억~3억 원 미만이 42.9%를 차지했다. 이어 5천만~1억 원 미만 24.7%, 5천만 원 미만 17.3%, 3억~5억 원 미만 9.9%, 5억~7억 원 미만 3.3%, 10억 원 이상 1.3%, 7억~10억 원 미만 0.5% 등으로 집계됐다.
부동산 관련 대출이 없다고 응답한 556명을 대상으로 대출 계획이 있는지 묻는 질문에 56.5%가 있다고 대답했다.
대출 계획이 있는 응답자 가운데 69.1%는 고정금리형을 선택하겠다고 대답했다. 혼합형은 18.8%, 변동금리형은 12.1%로 조사됐다. 이는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올릴 것으로 예상됨에 따른 것으로 풀이됐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 랩장은 “대출규제완화, 규제지역 해제에도 불구하고 이자부담이 커졌다”며 “당분간 매매시장은 투자목적보다 실거주 위주로 움직일 것이다”고 말했다. 류수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