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정부의 규제로 중국 반도체산업과 삼성전자가 모두 악영향을 받을 것이라는 대만 산업경제연구원의 분석이 나왔다. 삼성전자 중국 시안 낸드플래시 반도체공장. |
[비즈니스포스트] 미국 정부가 최근 시민권자 및 영주권자의 중국 반도체기업 취업을 제한하는 규제를 도입한 것을 두고 중국 반도체산업 성장을 크게 저해할 것이란 분석이 나왔다.
중국이 해외에서 영입하지 않고 자체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엔지니어 인력 수가 매우 부족한 만큼 앞으로 반도체 기술 발전에 차질을 피하기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대만 타이페이타임스는 27일 “미국 규제가 중국의 반도체 굴기 노력에 큰 충격을 줬다”며 “첨단 반도체 기술을 내재화하려는 중국의 노력에 찬물을 끼얹을 수 있다”고 보도했다.
타이페이타임스는 대만 산업경제연구원 보고서를 인용해 미국 정부가 최근 새로 도입한 여러 규제가 중국 반도체업계에 상당한 수준의 압박을 줄 것이라고 바라봤다.
이번 규제로 중국 내 반도체 공급망이 차단될 수밖에 없을 뿐만 아니라 세계시장에서 중국이 반도체 분야 경쟁력을 확보하는 일도 매우 어려워졌다는 것이다.
미국 상무부는 반도체 장비업체들이 중국에 고사양 반도체 생산에 필요한 장비를 사실상 수출할 수 없도록 하는 새 규제를 도입했다.
이에 더해 미국 시민권자 및 영주권자가 중국 반도체기업 및 관련업체에서 근무하려면 별도의 허가를 받도록 하는 조치도 시행했다.
해당 규제로 중국 최대 메모리반도체기업 SMIC에서 미국 시민권자인 사이먼 양 CEO가 사임하고 다수의 엔지니어가 회사를 떠나는 등 여파가 확산되고 있다.
타이페이타임스는 중국이 첨단 반도체장비를 사들일 수 없게 되면 앞으로 반도체 생산에 필요한 핵심 기술을 획득하는 데 큰 어려움을 겪게 될 수밖에 없다고 내다봤다.
중국에서 자체적으로 충분한 엔지니어 인력을 확보하기 어려워진 점도 큰 악재로 꼽혔다. 중국 주요 반도체기업들이 핵심 엔지니어를 미국에서 대거 영입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대만 산업경제연구원에 따르면 2020년 기준 중국에서 공대를 졸업한 뒤 전기공학 분야에서 일하는 인력은 연간 2만8천 명 정도로 추산되고 있다.
반면 중국의 전기공학 엔지니어 수요는 25만 명 정도로 분석돼 수요 대비 전문인력 공급이 매우 부족한 상황이다.
타이페이타임스는 “중국은 엔지니어 부족으로 반도체 자급체제 구축에 한계를 맞게 될 것”이라며 “미국 규제에 따라 중국 반도체산업에 다방면으로 어려움이 커지고 있다”고 보도했다.
다만 중국을 겨냥한 미국 정부의 규제 강화가 중국에서 반도체공장을 운영하는 삼성전자까지 큰 타격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관측이 나왔다.
대만 산업경제연구원은 “삼성전자가 미국 규제로 중국공장에 반도체 시설 투자를 벌일 수 없게 된다면 사업 경쟁력이 크게 낮아지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타이페이타임스는 미국 규제로 한국과 일본, 유럽과 싱가포르 등 세계 기업들이 중국과 기술 협력을 추진하거나 중국을 생산거점으로 삼기 어려워졌다며 이는 중국 반도체산업에 또다른 압박을 줄 수 있다고 바라봤다. 김용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