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1일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이원덕 우리은행 은행장이 의원들의 질문에 답변하는 모습. <국회방송 캡처> |
[비즈니스포스트]
이원덕 우리은행 은행장이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여야 의원들의 질문을 받았으나 집중공세로 이어지지는 않아 안도의 한숨을 내쉴 수 있게 됐다.
당초 우리은행에서 큰 규모의 횡령과 이상 외환거래가 나타나 의원들이 질의가 집중될 것으로 예상됐으나 금융감독원 질의시간이 길어졌고 정작 은행장 질의는 공통질의나 몇몇 은행을 묶어서 묻는 것이 많아 우리은행이 크게 부각되지는 않았다.
오히려 KB국민은행이 채용비리 관련 질의가 계속되며 국감장에서 다른 은행보다 관심이 집중됐다.
11일 열린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이 은행장에게는 횡령과 이상 외환거래 등을 제대로 파악해 내지 못한 내부통제 문제에 관해 이사회 안의 구조, 책임자, 예방책 등을 묻는 의원들의 질의가 나왔다.
시작은 양정숙 무소속 의원이었다.
양 의원은 국감장에 나온 시중은행의 은행장들 모두에게 가계 대출자의 금리 인하요구권 수용과 내부통제 등 금융 피해 예방책이 있는지를 물었다.
양 의원은 이어 내부통제 실패 사례를 들면서 우리은행의 700억 대 횡령 사고를 짚었다.
이 행장은 양 의원의 질의에 답변하며 “금리 인상기에 고객들의 부담을 덜 수 있도록 금리인하 요구권과 관련해 금융감독원의 개선책 마련에 적극 협조하겠다”며 “횡령사고는 이 자리를 빌려 다시 한번 국민 여러분께 심려를 끼쳐 죄송하다”고 말했다.
그는 “각고의 노력으로 거듭나도록 최선을 다하며 고객의 이익과 보호에 중점을 두고 경영하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소병철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시중은행의 내부통제 시스템이 왜 작동하지 않았고 문제점이 무엇인지와 개선 방향을 물었다.
이 행장은 “우리은행은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조직을 만들고 프로세스 개선, 업무 분리 등 다양한 제도를 지속해서 개선하고 있지만 횡령 사고가 발생했다”며 “횡령 등 사고가 조직문화에도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이는 만큼 제도 개선과 함께 조직문화도 바꿔나갈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오기형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우리은행이 내부통제를 구체적으로 어떻게 하고 있는지, 누가 책임을 지고 있는지 등을 질의했다.
이 행장은 “우리은행 이사회 안에 내부통제 관련 소위원회로 내부통제위원회를 운영하고 있다”며 “이사회에서 내부통제위원회와 대표이사에게 책임을 위임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상거래탐지시스템(FDS)의 실효성에 대한 질문도 나왔다.
윤주경 국민의힘 의원은 고객 계좌 탈취 피해를 탐지했는지를 물었다.
윤 의원에 따르면 은행 지점 현금인출기(ATM)를 통해 계좌를 탈취당한 피해자의 계좌에 1~2분 단위로 100만 원씩 가명으로 입금한 뒤 모바일로 타인에 송금하는 일이 있었다. 5월23일부터 6월8일까지 11일 동안 모두 4100건 29억 원의 거래가 발생했다.
이 은행장은 “그 건에 관해서 구체적으로 보고를 받지 못했다”며 “금융거래 시스템을 운영하며 380억 원의 금융 소비자 피해를 예방했고 지능화하는 범죄에 대응하기 위해 시스템을 업그레이드하고 있다”고 답변했다.
윤 의원은 “해당 거래를 우리은행은 탐지하지 못했고 의원실이 사실관계를 확인할 때까지 발생 사실을 몰랐다”고 지적했다.
이와 함께 “2015년 이상거래탐지시스템(FDS)을 도입했음에도 우리은행에서 발생한 횡령 사실을 탐지하지 못했다"며 왜 그런 일이 일어났는지 물었다.
이 은행장은 “송금액 자체가 은행의 자금이었기에 탐지가 안됐다”며 “고객의 돈이었다면 탐지했을 것이다”고 말했다.
윤 의원은 이에 “만약 지금도 이런 식이라면 본부 계좌를 통해 일어나는 사건은 확인 못하는 상태다”며 “21억 원을 이상거래탐지시스템에 쓰고도 몰랐고 횡령도 잡지 못했으며 4100건의 수상한 금융거래도 탐지하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이 은행장은 “이상거래 징후를 지금보다 더 확대하도록 하고 있다”며 “고객 관련, 자금 관련, 행태 관련 별로 폭넓게 하겠다”고 대답했다.
이용우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목표수익조기상환선물환(TRF) 상품에 관해 물었다.
이 의원에 따르면 2019년부터 지금까지 목표수익조기상환선물환을 국내 금융권에서 22조 원 규모로 팔았다. 이 가운데 우리은행은 11조 원 규모를 차지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 의원은 “시중은행이 목표수익조기상환선물환을 기업에 판매할 때 대기업은 제외했다”며 “이 상품을 대기업이 자세히 분석하면 살 상품이 아니라는 뜻 아니냐”고 지적했다.
그는 “고위험 상품인데 6배나 높은 수수료를 받았다”며 “이 상품의 실태를 전수조사해 금감원에 보고해달라”고 말했다.
이 행장은 “고난도 상품이라 자세한 파악은 못했다”며 “가격 정보를 제공했는지 등을 더 확인해 금감원에 보고하겠다”고 말했다. 조윤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