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별로 지점 폐쇄 현황을 보면 하나은행이 285곳(25.6%)으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신한은행 188곳(16.9%), 우리은행 157곳(14.1%), 국민은행 151곳(13.6%), 씨티은행 (7.9%) 등이다.
시도별로 은행 점포 폐쇄 현황을 살펴보면 서울 473곳(42.5%)으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경기도 227곳(20.4%), 부산 74곳(6.7%), 경남 63곳(5.7%), 인천 51곳(4.6%) 등이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시중은행들은 인터넷, 모바일뱅킹 등 비대면 거래 증가, 중복점포 정리 확대 등을 이유로 지점을 폐쇄하고 있다.
강 의원은 은행들이 지점 폐쇄에 대한 비판 여론이 커지자 폐쇄 대상 지점을 출장소로 전환하는 꼼수를 쓰고 있다고 지적한다. 출장소는 지점보다 규모가 작은 간이 점포로 처리할 수 있는 업무의 범위도 작다.
시중은행들이 2017년부터 2022년 8월까지 5년여간 지점을 출장소로 전환한 수는 모두 257곳에 이르는 것으로 파악됐다.
연도별 지점의 출장소 전환 현황을 살펴보면 2017년 95곳, 2019년 43곳, 2020년 38곳, 2021년 84곳, 2022년 8월까지 46곳 등이다.
은행별로 출장소 전환 현황을 보면 국민은행 148곳(41.5%), 대구은행 44곳, 신한은행 35곳 등이다.
시도별로 지점의 출장소 전환 현황을 살펴보면 서울시 92곳(25.8%), 경기도 52곳, 대구시 42곳 등이다.
은행들이 지점을 출장소로 전환하는 이유는 운영비용 절감 때문인 것으로 분석됐다.
가장 많은 지점을 출장소로 전환한 국민은행의 사례를 살펴보면 2021년 기준 지점 평균 운영비용은 21억7993만 원에 운영인력은 11.9명이다. 반면 출장소는 별도의 운영예산 없이 모점포의 운영비를 통합해 사용하며 운영인력은 3.8명에 불과하다.
강 의원은 “은행이 적자도 아닌데 단순히 인터넷, 모바일뱅킹 등 비대면 은행 거래 증가를 이유로 점포를 폐쇄한다는 것은 은행이 가진 공공성은 배제한 채 스마트폰과 자동현금인출기(ATM) 사용이 불편한 금융소외계층이나 노약자의 금융 서비스 권리를 무시한 처사다”고 비판했다.
강 의원은 “은행들이 점포 폐쇄 등의 현황을 반기별로 대외 발표해 금융 소비자들에게 인지케 하고 금융당국의 은행 지역재투자 평가 때 점포 감소에 대한 감점 부과 폭을 확대해 불이익을 부여하도록 강화시켜 금융 접근성을 확보하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조승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