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지난해 금융회사 3곳 이상에서 대출받은 30대 이하 청년층의 다중채무액이 5년 전보다 30% 넘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가상화폐와 주식 투자 열풍으로 빚을 내서 투자하는 이른바 ‘빚투’에 나선 투자자들이 늘어난 영향으로 분석된다.
▲ 지난해 금융회사 3곳 이상에서 대출받은 30대 이하 청년층의 다중채무액이 5년 전보다 30% 넘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31일 한국금융연구원이 발표한 보고서 ‘국내 금융권 다중채무자 현황 및 리스크 관리 방안’에 따르면 4월 말 기준 금융권 전체의 다중채무자는 451만 명, 채무액 규모는 598조8천억 원으로 집계됐다. 2017년 말보다 다중채무자는 34만4천 명(8.3%), 채무액은 108조8천억 원(22.1%) 각각 늘어난 수치다.
연령대별 다중채무액을 살펴보면 30대 이하 청년층의 다중채무액은 158조1천억 원으로 2017년 말보다 32.9% 늘어났다.
40~50대 중년층은 16.2% 늘어난 368조2천억 원, 60대 이상 노령층은 32.8% 증가한 72조6천억 원이었다.
전체 다중채무액에서 중년층이 차지하는 비중이 61.5%로 가장 높지만 증가 속도는 청년층과 노년층이 중년층의 2배 이상 빠른 것으로 분석됐다.
한국금융연구원은 “전 연령대에서 다중채무 규모가 빠르게 증가해온 가운데 특히 소득수준과 신용도가 낮은 청년층과 노년층의 대출이 금리수 준이 높은 여신전문금융권과 저축은행권을 중심으로 빠르게 증가했다”고 말했다.
한국금융연구원은 “일반적으로 고금리 다중채무는 대출자의 상환부담을 높여 소비여력을 위축시키게 되며 감내 수준을 넘어갈 경우에는 부실로 연결될 가능성이 높다”고 덧붙였다.
한국금융연구원은 “제도적으로 다중채무자의 신용대출과 일시상환대출을 중도 또는 만기에 도달했을 때 분할상환방식으로 전환해주거나 저축은행 등 고금리 상품을 다른 금융업권 또는 정책금융기관의 낮은 고정금리 상품으로 전환해주는 프로그램 개발 노력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조승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