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6월30일 열린 중국 국가통계국 영상회의. <중국 국가통계국>
하지만 중국 조사기관들은 상반기 물가가 안정적 위치에 있으며 하반기에도 통제 가능한 수준에 머물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11일 중국 매체 금융시보는 “6월 CPI 상승폭은 5월과 비교해 0.4%포인트 높아졌다”며 “전반적으로 합리적 위치에 있다”고 분석했다.
중국 국가통계국이 발표한 데이터에 따르면 6월 CPI는 지난해 6월보다 2.5% 올랐다. 2020년 이후 23개월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그러나 중국은 연간 CPI 상승폭을 3% 안으로 통제하는 것을 목표로 두고 있는 만큼 6월 CPI 상승폭이 큰 변수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분석이 나온다.
금융시보는 “상반기 월간 CPI 전년동기 대비 상승폭은 모두 3%보다 낮았다”고 보도했다.
세부적으로 보면 6월 식품 가격은 지난해 6월보다 2.9% 올랐고 5월 상승폭보다 0.6%포인트 확대됐다. 비식품 가격은 지난해 6월보다 2.5% 상승했으며 5월 상승폭보다 0.4%포인트 올랐다.
특히 비식품 부문에서 자동차 휘발유와 디젤유 가격이 가장 큰 폭의 상승세를 보였던 것으로 집계됐다.

▲ 중국 최근 1년 소비자물가지수(CPI) 전년동기 대비 상승폭 추이. <중국 국가통계국>
금융시보에 따르면 중국 둥팡진청국제신용평가사의 왕칭 수석 거시경제 연구원은 “상반기 CPI 상승폭이 지난해 상반기보다 컸던 것은 돼지고기 가격 강세와 국제유가 급등, 지난해 상반기 기저효과 등 영향을 받았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9월 CPI 상승률은 3%를 돌파할 가능성이 있지만 하반기 전체 물가는 통제 가능한 수준에 머무를 것으로 전망됐다.
왕 연구원은 생산자물가지수(PPI) 상승률이 하반기에 줄어들겠지만 이는 중국 물가 안정에 긍정적 요소로 작용할 것이라는 분석도 내놨다.
중국의 6월 PPI는 지난해 6월보다 6.1% 올랐으며 지난해 10월부터 8개월째 전년동기 대비 상승폭이 줄어들고 있다.
금융시보는 인웨 훙타증권 거시경제 연구원의 분석을 인용해 “철강과 시멘트 등의 수요가 위축되고 가격이 하락하면서 PPI 상승률이 더 낮아졌다”고 밝혔다.
인 연구원은 “세계적으로 급격하게 통화긴축 정책이 시행되고 중국과 같은 개발도상국 국가에 인플레이션 압박도 더 크게 다가왔다”며 “경제 전망에 관한 우려가 확대된 것이 비철금속 가격 하락, PPI 상승폭 하락을 야기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노이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