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 은행권에 따르면 최근 알려진 2건의 횡령사고는 모두 이원덕 행장이 취임하기 이전에 일어난 사고로 직접적인 내부통제 책임이 있다고 보기는 힘들다.
그러나 이 행장은 우리은행의 완전민영화 이후 첫 은행장으로서 조직결속과 계열사 시너지 강화, 디지털전환 등 여러 중대한 과제를 앞두고 있던 상황에서 고객들의 불신을 잠재워야 한다는 시급한 임무를 맡게 됐다.
금융감독원은 애초 이날까지 600억 원대 횡령사고에 대한 수시검사를 진행할 계획이었지만 검사기간을 추가연장하기로 했다.
앞서 금융감독원은 4월28일 우리은행 횡령사고가 알려지면서 검사에 착수 한 바 있다.
이 행장은 횡령사실이 알려진 직후 사내 메일에서 "우리는 고객의 소중한 자산을 지켜주고 키워주어야 하는 은행원으로 고객의 신뢰를 회복하는 데에는 더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할 것"이라며 "더 굳게 일어서서 무너진 신뢰를 다시 쌓아나가야 한다. 은행장인 제가 앞장서겠다"고 밝혔다.
앞서 우리은행 직원 A씨는 2012년 10월12일, 2015년 9월25일, 2018년 6월11일 등 세 차례에 걸쳐 614억 원가량의 회삿돈을 빼돌렸다.
현재 A씨를 비롯해 횡령에 가담한 A씨의 동생과 투자에 도움을 준 공범은 구속돼 수사를 받고 있는 상태다.
여기에 더해 영업점 직원이 1월 현금자동입출금기(ATM)를 통해 회삿돈 4억9천만 원을 빼돌리려다 적발됐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우리은행의 내부통제 시스템을 향한 불신의 시선이 증폭되고 있다.
우리은행은 600억 원대 횡령사실에 대해 이 행장이 말했듯 고객신뢰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다만 올해 초 벌어진 ATM 횡령시도 적발 건은 오히려 내부통제 시스템이 잘 작동한 사례라고 설명하고 있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해당 사고는 내부통제시스템이 잘 작동해 적발부터 회수, 보고까지 모두 완료된 사항이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해당 횡령시도가 일어난 직후인 2월 우리은행은 내부통제시스템 고액현금거래보고(CTR)에 의해 이상 거래를 발견하고 즉시 자체 내부감사에 착수했으며 횡령금 전액을 회수하고 5월 초 A씨를 면직처리했다.
우리은행의 설명이 맞다고 하더라도 연달아 두 건의 횡령사실이 알려지며 시장에서 잃었던 신뢰를 회복하는데는 시간이 걸릴 것이라는 시선이 나온다.
이 행장은 우리은행 경영기획그룹 집행부행장, 우리금융지주 전략부문 부사장, 우리은행 업무총괄 수석 부사장 등 요직을 거쳐 올해부터 우리은행을 이끌고 있다.
완전민영화 이후 새롭게 추진해야 할 업무들로 무거웠던 그의 어깨에 소비자 신뢰회복이라는 가장 큰 과제가 더해지게 된만큼 앞으로 이 행장은 고객 신뢰를 다시 쌓아가는 일을 최우선으로 추진할 것으로 보인다. 공준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