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선희 기자 sunnyday@businesspost.co.kr2022-03-15 16:11:23
확대축소
공유하기
KB자산운용이 국내 첫 디지털자산 관련 투자상품을 내놓기 위해 분주히 움직이고 있다.
새 정부가 디지털자산의 제도권 편입에 속도를 낼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에서 KB자산운용이 관련 상품을 최초로 내놓는다면 시장 선점효과를 톡톡히 볼 것으로 예상된다.
▲ 이현승 KB자산운용 대표이사 사장.
15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5월 윤석열 정부가 출범하면 디지털자산 관련 산업의 제도화 편입에도 속도가 붙을 것으로 전망된다.
윤석열 대통령 당선자는 후보 시절 ‘디지털자산 기본법’을 제정하고 디지털산업진흥청을 설립하겠다고 약속했다. 코인투자 수익을 5천만 원까지 비과세하고 NFT(대체불가토큰) 활성화를 통해 신개념 디지털자산시장을 육성하겠다는 공약도 내걸었다.
안철수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위원장 역시 대선후보 시절 ICT(정보통신기술)산업 강화를 위한 규제 혁신을 약속한 만큼 디지털자산 제도화에 힘이 실릴 수 있다.
자산운용업계에서는 디지털자산 제도화에 대응해 KB자산운용이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KB자산운용은 국내외 디지털자산 도입속도를 고려해 지난달 태스크포스(TF) 조직인 디지털자산운용준비위원회를 출범했다.
KB자산운용은 디지털자산운용준비위원회를 통해 글로벌시장에서 이미 인기를 끌고 있는 비트코인 관련 ETF(상장지수펀드)에 투자하는 펀드나 가상화폐 관련 기업에 투자하는 펀드 등의 상품 출시에 우선적으로 힘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KB자산운용은 앞서 디지털자산운용준비위원회 출범을 알리며 디지털자산 현물과 선물에 투자하는 ETF로 구성된 재간접펀드와 가상자산 테마의 주식형펀드 등의 상품을 신속히 출시할 뜻을 밝혔다.
KB자산운용은 이를 바탕으로 향후 비트코인 가격에 연동하는 ETF 등 다양한 상품 출시를 통해 디지털자산의 제도권 편입으로 형성되는 시장 선점을 노릴 것으로 보인다.
테마형 펀드나 ETF의 경우 처음 출시되는 상품이 초기 수요를 끌어가는 만큼 퍼스트무버(산업의 변화를 주도하고 새로운 분야를 개척하는 선도자)로서 신규 시장을 개척하는 것이 중요한 것으로 여겨진다.
KB자산운용은 앞서 국내 최초로 메타버스 관련 펀드를 출시한 뒤 시장 선점효과를 톡톡히 본 경험도 있다.
디지털자산 관련 산업은 제도권 편입 이후 빠른 성장이 예상되는 만큼 선제적 상품 출시는 KB자산운용의 펀드시장 점유율 확대에도 큰 보탬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KB자산운용은 11일 기준 국내 펀드시장에서 순자산총액 53조299억 원 규모의 펀드를 운용해 업계 3위에 올라있다. 업계 1위인 미래에셋자산운용(122조2천억 원), 업계 2위인 삼성자산운용(112조 원)의 절반 수준이다.
ETF시장도 양상이 비슷하다. 11일 기준 KB자산운용의 ETF 순자산총액은 5조4506억 원으로 업계 1위인 삼성자산운용(29조6천억 원)과 2위인 미래에셋자산운용(25조5천억 원)에 이어 3위에 올라 있다.
시장 확대에 따른 디지털자산의 제도권 편입은 국내뿐 아니라 세계적 흐름으로 여겨진다.
지난해 3월 캐나다에서 세계 최초로 비트코인 현물 ETF인 ‘퍼포스 비트코인 ETF(Purpose Bitcoin ETF)’가 출시된 뒤 세계적으로 디지털자산의 제도화 편입 움직임이 활발해지고 있다.
미국에서는 지난해 증권거래위원회(SEC), 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가 디지털자산 워킹그룹을 설치하고 가상자산의 정의와 규제권한을 설정하는 등 디지털자산 제도화에 나섰다.
아시아에서는 싱가포르 최대은행인 DBS그룹홀딩스가 아시아 금융기관 최초로 디지털자산 거래소를 설립했고 올해 말 개인고객이 디지털자산을 거래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KB자산운용 관계자는 비즈니스포스트와 통화에서 “디지털자산운용준비위원회와 관련해 어떤 방향으로 태스크포스를 운영할지, 어떤 상품을 출시할지 아직 결정된 것이 없다”며 “현재 내부적으로 태스크포스를 구성한 것 외에 구체적으로 말씀드릴 수 있는 사안이 없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진선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