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중공업과 대우조선해양, 삼성중공업 등 국내 조선3사의 총차입금 규모가 5년새 14조 원 가까이 증가했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수주경쟁이 치열해져 조선사가 불리한 방식의 수주계약을 하면서 차입금도 늘어난 것으로 풀이된다.
|
|
|
▲ (왼쪽부터) 권오갑 현대중공업 사장, 정성립 대우조선해양 사장, 박대영 삼성중공업 사장. |
8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중공업의 차입금 규모는 2010년 5조2천억 원에서 지난해 11조4천억 원으로 2배 수준으로 늘었다.
삼성중공업도 2010년 2조4천억 원이던 차입금 규모가 지난해 말에는 4조7천억 원으로 증가했다.
이 기간에 대우조선해양의 차입금 규모는 3배 이상 증가했다. 2010년 2조5천억 수준이었으나 지난해 말 기준으로 7조9천억 원에 이른다.
조선3사의 차입금 규모는 2010년 10조 원 수준에 머물렀으나 지난해 말에는 23조9천억 원 수준으로 증가한 것이다. 산술적으로 5년간 14조 원 가까이 차입금액이 늘었다.
차입금 규모가 이처럼 늘어난 것은 달라진 수주관행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대부분 조선업체는 2008년에 발생한 글로벌 금융위기 이전만 하더라도 선박 건조단계에 따라 선주로부터 대금을 지급받는 계약을 주로 했다.
하지만 금융위기 이후 선박수주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선주가 선박을 인도받는 시점에야 대금의 절반 이상을 지급하는 계약방식이 보편화됐다. 이런 계약방식을 ‘헤비테일 방식’이라 부른다.
선박은 한 척 건조하는 데 드는 시간이 오래 걸리는 만큼 조선소 입장에서 불리할 수밖에 없는 방식이다. 사업 유지를 위해 드는 돈이 많으니 어쩔 수 없이 차입금을 늘렸다는 분석이 나온다.
단적으로 대우조선해양의 경우 지난해 수주부진 등이 겹치며 자금난이 심해지자 채권단에게 4조 원에 이르는 자금을 공급받은 적이 있다.
따라서 이런 헤비테일 방식의 개선이 없을 경우 조선업체의 차입금 부담은 더욱 커질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된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헤비테일 방식으로 계약을 맺을 경우 선주가 선박발주를 도중에 취소하면 조선기업이 입는 타격이 더욱 심해진다”고 말했다.
하지만 세계 경기불황이 이어지고 있다는 점이 문제다. 예전처럼 선박을 건조하는 단계에 따라 금액을 균일하게 받을 수 있는 상황이 아니라는 것이다.
업계의 다른 관계자는 “4월 국내 조선3사의 수주량이 사상 처음으로 0을 기록하는 등 글로벌 경기불황에 따른 조선업계의 수주부진이 이어지고 있다”며 “당분간 조선업체의 차입금 문제해결이 어려울 것”이라고 내다봤다. [비즈니스포스트 남희헌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