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금융권에 따르면 하나은행이 시중은행과 증권사 등을 통틀어 가장 먼저 오스템임플란트 관련 펀드의 판매 중단을 결정한 것은 박 행장의 금융소비자 보호 의지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박 행장은 지난해 3월 취임한 뒤 금융소비자 보호 정책을 꾸준히 강화해 왔고 이와 같은 노력이 하나은행 전체의 금융소비자 보호 의식 제고로 이어졌다고 평가된다.
특히 박 행장은 금융소비자 보호 정책에서 사후적 수습보다는 소비자보호 장치를 선제적으로 적용해 금융사고를 미리 막는데 무게를 두고 있다.
하나은행은 5일 오스템임플란트에서 횡령 사건이 발생했다는 사실이 알려지자마자 관련 부서 담당자들이 모여 곧바로 회의에 들어갔고 판매를 중단하는 쪽으로 빠르게 의견을 모은 것으로 전해졌다.
박 행장은 내부상황과 의견을 빠르게 취합한 뒤 펀드에서 오스템임플란드가 차지하는 비중이 1%로 높지는 않지만 만에 하나 고객이 손실을 볼 수 있다는 점에서 즉시 판매를 중단하기로 결정했다. 현실적으로 ‘수익’을 내려놓기가 쉽지 않은 데도 금융소비자 보호에 무게를 두고 빠른 판단을 내린 것이다.
긴급소집된 회의에는 소비자보호 업무를 담당하는 손님행복본부뿐 아니라 연금사업본부, 투자상품본부, 자산관리(WM)본보 등 오스템임플란드 펀드 관련 부서의 담당자들이 모두 참여했다.
판매 중단을 결정한 뒤에는 곧바로 고객들에게 문자를 보내 빠르게 알렸다.
오스템임플란트가 편입된 미래라이프사이클2030증권전환형자투자1(주식)C-P펀드에 가입한 하나은행 소비자들은 5일 점심 때쯤 신규 판매를 중단한다는 내용이 담긴 문자를 받았다.
하나은행에 이어 다른 은행이나 증권사들도 속속 펀드 판매를 중단하면서 하나은행이 판단을 빠르게 잘 내렸다는 평가가 금융권에서 나왔다.
하나은행이 5일 오스템임플란드 편입 펀드의 판매를 중단한 뒤 6일 NH농협은행이 하나은행 다음으로 펀드 판매를 중단했고 KB국민은행과 신한은행, 우리은행 등은 7일 판매 중단을 결정했다.
박 행장은 금융소비자 보호정책에서 특히 선제적이고 능동적이어야 할 것을 강조한다. 금융사고가 발생한 뒤에는 어떤 보상으로도 고객의 신뢰를 회복하기가 어렵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박 행장이 지난해 3월 취임할 때만 해도 하나은행이 옵티머스자산운용 펀드나 라임자산운용 펀드 등 대규모 사모펀드 환매중단 사태로 어려움을 겪었던 상황이라 금융사고가 터지는 일은 아예 없어야 한다는 다짐을 했을 수도 있다.
박 행장은 금융소비자 보호를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하나은행은 지난해 6월 지배구조 내부규범을 개정해 이사회 안에 소비자리스크관리위원회를 신설하고 소비자경제 전문가인 최현자 서울대 소비자학과 교수를 사외이사로 영입했다.
지난해 1월 도입된 ‘상품숙지 의무제’를 중심으로 판매직원의 역량을 강화하고 금융소비자 보호 의식을 높이는 데에도 힘쓰고 있다. [비즈니스포스트 차화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