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병철 현대차증권 대표이사 사장이 수소경제 인프라 확충 사업에 적극 참여하며 수소사업 관련 금융역량을 키우는 데 주력하고 있다.

최 사장은 수소사업 관련 금융 참여를 통해 현대차증권의 수익 다각화와 ESG(환경, 사회, 지배구조)경영 강화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으려고 한다.
 
현대차증권 수소사업 금융역량 키워, 최병철 수익다각화에 ESG경영도

최병철 현대차증권 대표이사 사장.


2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정부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대폭 상향한 데 따라 국내 수소경제의 성장에 가속도가 붙을 것으로 전망된다.

현대차증권은 최근 수소경제 관련 사업에 금융자문 및 금융주선 등으로 적극 참여하고 있는데 수소경제가 급성장하게 되면 더욱 다양한 사업기회를 얻게 될 수 있다.
 
최 사장은 수소경제 인프라사업에 참여해 국내 수소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실제로 최근 현대차증권은 수소사업 관련 금융업무에 적극 참여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9월에만 수소충전소 구축사업과 수소플랜트 건설사업 등 2건의 수소사업에 각각 금융자문사와 금융주관사로 참여했다.

이에 앞서 6월에는 환경부, 충청남도, 논산시 등과 1조5천억 원 규모의 ‘수소경제도시 전환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기도 했다.

모그룹인 현대자동차그룹이 수소경제를 향한 청사진을 그리고 있는 만큼 최 사장은 계열사 시너지도 기대할 수 있다. 현대차그룹이 주도하는 다양한 수소경제사업에서 현대차증권이 금융업무 총괄 등 역할을 맡을 수 있다.

현대차그룹은 글로벌 수소전기차 판매 1위에 올라있으며 세계 최초로 수소전기트럭을 양산하는 등 수소사업 강화에 힘을 쏟고 있다. 수소 모빌리티나 수소경제에서 한발 더 나아가 수소사회를 구축하는 데 앞장서겠다는 청사진도 그리고 있다.

수소연료전지 상용화 및 수소사회 구축에는 수소충전소 등 인프라 구축이 필수인 만큼 현대차증권이 금융자문이나 금융주관 업무 등을 맡을 수 있는 기회가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현대차증권이 수소경제 관련 금융사업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가 많아지면 최 사장이 ESG경영을 강화하는 데도 보탬이 될 수 있다.

현대차증권은 최근 한국기업지배구조원(KCGS)이 내놓은 ESG경영 평가에서 증권사 가운데 가장 높은 등급인 A등급을 받았다.

종합등급 A를 받은 증권사는 현대차증권을 포함해 NH투자증권, 삼성증권, 대신증권 등 4곳뿐인데 이 가운데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A등급을 받은 곳은 현대차증권이 유일하다. 

현대차증권의 세부 평가항목을 살펴보면 사회(S)와 지배구조(G)에서 각각 A+와 A를 받았는데 환경(E)에서는 B+를 받았다.

현대차증권은 “2020년 환경부문에서 B등급을 받았지만 올해는 한 단계 높아졌다”며 “ESG 채권 주관 및 인수, 그리고 수소경제 인프라 금융사업 등에 적극적으로 나선 결과”라고 설명했다.

증권사가 환경경영을 실천할 수 있는 방법은 ESG채권 발행이나 투자 등 간접적 방식으로 제한된다. 게다가 ESG채권발행 등은 대형증권사에 몰리기 때문에 중소형사인 현대차증권에게는 그마저도 요원하다. 

하지만 앞으로 현대차증권이 수소경제 관련 금융을 확대하게 되면 환경부문 평가등급이 상향될 수 있다. 이는 ESG경영 종합 등급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최 사장으로서는 수소경제 금융자문이나 금융주선 등에 적극 참여함으로써 기업금융 역량을 키우는 동시에 ESG경영성과도 낼 수 있는 기회인 셈이다.

최 사장은 9월 수소충전소사업 금융자문을 맡으며 “탄소중립은 세계적으로 거스를 수 없는 거대한 흐름”이라며 “앞으로도 지분투자, 자금대여, 금융자문 및 주선 등 증권사로서 전문적 역량을 극대화해 국내 수소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정부는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2018년을 기준으로 40% 줄이겠다고 밝혔다. 기존 26.3%였던 온실가스 감축목표(NDC)를 대폭 상향했는데 목표달성을 위해 국내에 보급된 수소차를 2030년까지 88만 대로 늘리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이에 국내 수소차시장은 2030년까지 연평균 41% 성장하고 수소충전 인프라사업도 빠른 속도로 전개될 것으로 전망된다.

유진투자증권은 “수소차 보급은 정부의 지원의지만 확고하다면 목표달성이 어렵지 않다”며 “충전인프라 확충에 대해서도 더욱 적극적 정책이 시행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바라봤다. [비즈니스포스트 박안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