류영준 카카오페이 대표이사가 두 차례나 미뤄졌던 기업공개에 다시 시동을 건다.
류 대표는 첫 기업공개 도전에 나선 당시보다 안 좋아진 기업공개 상황에 대응해 금융사업영역 확장을 통해 정면돌파할 것으로 보인다.
21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카카오페이는 기업공개 첫 절차인 기관투자자 수요예측을 이날까지 진행한다.
카카오페이는 기관투자자 수요예측을 거쳐 공모가를 확정하고 25~26일 일반청약을 받은 뒤 11월3일 유가증권시장에 상장한다.
카카오페이가 기업공개 절차에 본격적으로 돌입한 셈인데 류 대표로서는 속내가 복잡할 수밖에 없다.
카카오페이 상장일정은 올해 두 번이나 미뤄졌다.
카카오페이는 당초 7월29일~30일에 기관 대상 수요예측을, 8월4일~5일에 일반청약을 진행하고 8월12일에 상장할 계획을 세웠다.
하지만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증권신고서 정정 요구를 받으면서 일정을 9월 말로 두 달가량 미뤘다.
두 번째 기업공개도 금융소비자보호법에 따른 금융상품 중개에 관한 금융당국의 유권해석을 반영하는 과정에서 또 다시 미뤄졌다.
카카오페이 기업공개가 두 차례나 미뤄지는 사이 카카오페이 기업공개 흥행 여부는 더 불투명해진 것으로 보인다.
최근 공모주 투자가 급격히 위축되고 있다. 금융당국이 가계대출 총량관리를 위해 개인신용대출을 막으며 공모주시장에 몰리는 자금규모도 줄어들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9월 기업공개를 진행한 기업들의 첫날 공모가 대비 수익률은 평균 37.32%로 올해 1~8월 상장한 기업들의 첫날 공모가 대비 수익률 58.30%를 크게 밑돌았다.
중고차거래 플랫폼 케이카와 색조화장품기업 아이패밀리SC는 공모가가 각각 희망가격 하단보다 20~30%가량 낮게 책정되기도 했다.
이에 더해 금융당국이 핀테크업계 규제를 강화하고 있어 카카오페이 성장이 위축될 수 있다는 시선도 나온다.
금융당국은 카카오페이, 네이버파이낸셜 등 핀테크기업들이 플랫폼을 통해 금융상품을 판매하는 것을 놓고 중개행위에 가깝다며 서비스 제공방식을 바꾸거나 중개업 허가를 받아야한다고 판단했다.
류 대표는 금융당국의 유권해석을 받아들여 카카오페이앱에 중개인지 광고인지 오해를 불러올 수 있는 사용자경험(UX)와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전면개편해 문제를 해결했다.
다만 몇 해 동안 긍정적 성장전망만 가득했던 플랫폼업계를 금융당국이 면밀히 들여다보고 규제하기 시작했다는 점은 여전히 카카오페이 성장에 불안요인으로 남아있다.
카카오페이도 이번 기업공개를 위해 15일 정정신고한 증권신고서에서 '정부 규제 위험'을 투자위험요소로 꼽기도 했다.
류 대표는 카카오페이 기업공개에 외부적 악재들이 많아진 상황에서 자체 금융 플랫폼 경쟁력을 높이는 방향으로 정면돌파를 선택한 것으로 보인다.
카카오페이는 이르면 이달 안에 디지털손해보험사 본인가 신청하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당초 연내 본인가를 신청하겠다는 계획을 앞당긴 것이다.
류 대표는 디지털손해보험사 설립에 속도 붙여 금융사업영역 확장 등 금융 플랫폼역량이 건재하다는 것 보여주려는 것으로 보인다.
류 대표가 직접 금융사를 설립해 시장에 뛰어들면 금융당국의 플랫폼 중개이슈에서도 더 자유로워질 수 있다.
김동희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금융소비자보호법 등 핀테크시장 성장에 따른 사회적 책임과 소비자 보호이슈가 제기되고 있다"며 "카카오페이는 증권, 보험 라이선스를 직접 취득하는 전략을 선택하고 있어 중장기 규제 리스크에서 가장 자유로울수 있다"고 분석했다.
류 대표는 올해 말에서 2022년 초 사이에 카카오페이증권에 모바일주식거래시스템을 출시해 직접 투자서비스를 제공하겠다는 계획도 세우고 있다.
카카오페이는 이날 오후 5시까지 기관 투자자 수요 예측을 실시해 공모가를 확정한다.
카카오페이 희망 공모가는 6만∼9만 원, 공모 금액은 최소 1조200억 원에서 1조5300억 원이다.
카카오페이 예상 시가총액은 7조8천 억∼11조7천억 원으로 추산된다. [비즈니스포스트 윤종학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