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나 러몬도 미국 상무부 장관이 미국의 반도체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강제적 수단도 고려하겠다고 했다.

러몬도 장관은 23일 로이터통신과 인터뷰에서 “반도체가 부족한 상황이 나아지지 않고 어떤 면에서는 더 악화하고 있다”며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더 공격적으로 나서야 할 때”라고 말했다.
 
미국 상무부 장관 “반도체 부족 해소에 더 공격적으로 나서야 할 때”

▲ 지나 러몬도 미국 상무부 장관.


이날 미국 백악관은 반도체 가치사슬을 점검하는 3차 회의를 상무부 주재로 열었다. 삼성전자, TSMC, 인텔 등 반도체회사들과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등 IT회사, GM, 다임러, BMW 등 완성차회사들까지 회의에 참석했다.

상무부는 회의에 참석한 회사들에 45일 안으로 재고와 주문, 판매 등 기업의 내부정보를 자발적으로 제출할 것을 요구했다.

러몬도 장관은 인터뷰에서 “정보 제공 요청은 반도체 조달망의 병목현상이 어디서 일어나는지를 파악해 투명성을 높이기 위한 조치다”며 “기업이 협조하지 않는다면 이를 강제할 수단도 있다”고 경고했다.

그는 “우리(조 바이든 행정부)가 강제적 수단을 쓰지 않게 되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러몬도 장관이 언급한 강제적 수단은 국방물자생산법(DPA)을 활용해 기업의 정보 제출을 강제하는 것으로 보인다.

국방물자생산법은 미국이 한국전쟁 시절 군수물자를 안정적으로 조달하기 위해 마련한 법이다. 바이든 행정부는 코로나19 백신 제조를 위해 이 법을 활용한 전례가 있다.

미국뿐만 아니라 글로벌 차원에서도 반도체 공급부족 문제가 갈수록 심화할 조짐을 보이고 있다.

워싱턴포스트에 따르면 코로나19 델타 변이 바이러스의 확산으로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반도체 칩 조립라인이 가동에 차질을 빚고 있다.

동남아시아는 반도체 가치사슬의 주요 지역 가운데 하나로 꼽힌다. 말레이시아, 베트남, 필리핀 등 나라들에 반도체 조립 및 재가공설비들이 모여 있기 때문이다.

워싱턴포스트는 “완성차회사들은 1년 가까이 반도체 부족에 시달렸는데 상황이 더 나빠질 위기에 놓였다”며 글로벌 자동차산업이 2022년 말까지 4500억 달러(528조 원가량) 수준의 매출 손실을 볼 것으로 내다봤다. [비즈니스포스트 강용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