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정부가 코로나19 사태에 대응해 내놓은 경기부양책이 좋은 성과를 낸 것으로 평가되지만 중장기적으로 긍정적 영향이 지속될 지는 불투명하다고 미국언론이 바라봤다.
워싱턴포스트는 13일 “미국 정부는 코로나19 사태 경제위기에 맞서기 위해 최소 5조2천억 달러(약 5950조 원)을 들였다”며 “역사상 가장 비싸고 과감했던 실험”이라고 보도했다.
미국 정부는 4차례에 걸친 경기부양책을 통해 개인과 기업 등에 막대한 재난지원금을 지급하며 코로나19 사태로 침체된 경제활동이 빠르게 회복할 수 있도록 힘썼다.
워싱턴포스트는 미국 정부 경기부양책이 실제 경제지표 개선으로 이어진 만큼 성공적인 결과를 낳았다고 평가했다.
미국의 올해 국내총생산(GDP)은 지난해와 비교해 7.4%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2022년 국내총생산 증가율은 3.1%로 예상돼 37년 만에 가장 강력한 경제성장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워싱턴포스트는 정부 경기부양책에 힘입어 급증했던 소비가 경기부양책 중단 뒤 빠르게 힘을 잃으면서 경제성장률 둔화로 이어질 수 있다고 내다봤다.
미국 정부가 이미 경기부양책 중단 가능성을 논의하고 있는 만큼 경제에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는 것이다.
워싱턴포스트는 “가계와 기업은 미국 경기부양책 중단 뒤 다시 경제 저성장상태에 놓여 고전할 수 있다”며 “경제가 스스로 발전할 수 있는 자생력을 갖추고 있을지 불투명하다”고 바라봤다.
미국 정부의 경기부양책 규모가 과도한 수준이었다는 분석도 고개를 들고 있다.
워싱턴포스트는 미국 정부가 경기부양책에 들인 자금이 미국 국민 절반의 모든 부채를 갚아줄 수 있는 정도의 수준이라며 경제 회복에 필요한 규모를 뛰어넘는 지원이 이뤄졌다는 의견도 전문가들 사이에서 나오고 있다고 보도했다.
미국 정부 경기부양책이 국내총생산 증가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은 앞으로 수년 동안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워싱턴포스트는 “경기부양책이 지나친 물가 상승으로 이어져 경제에 부정적 변수로 작용할 수도 있다”며 “미국 정부가 경기부양책으로 끌어올린 경제성장세를 안착시켜야 한다”고 보도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용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