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새로운 한국판 뉴딜정책을 조만간 내놓는다.
이억원 기획재정부 제1차관은 6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시·도경제협의회에서 “7월 한국판 뉴딜 1주년을 맞아 지난 1년 동안의 추진성과를 종합적으로 점검하고 뉴딜의 진화계획(한국판 뉴딜 2.0)을 발표하겠다”고 밝혔다.
현재 한국판 뉴딜 정책은 디지털 뉴딜, 그린 뉴딜, 고용사회 안전망 강화 등 크게 3가지 축으로 구성돼 있다.
정부는 이 가운데 고용사회 안전망 강화 부분을 확대하고 청년층을 위한 다양한 교육 및 지원 프로그램을 마련하는 방안을 구상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차관은 균형발전 및 지역균형 뉴딜과 관련해서는 민간투자를 확대하겠다고 했다.
이 차관은 “지역균형 뉴딜은 추진 기반을 마련하는 데 힘쓰겠다”며 “지역별로 시그니처 사업의 체감 성과를 확산하고 벤처 등 민간투자를 확대해 자생적 투자 생태계를 조성할 것이다”고 말했다.
이 차관은 최근 경제상황과 관련해 “일반국민이 체감하는 민생경기는 여전히 엄중하다”며 “대면업종의 회복이 지체되고 있고 취약계층의 고용 충격과 코로나19로 심화한 각 부문별 격차는 여전히 지속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인플레이션, 가계부채 증가 등 경기 회복 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리스크와 관련한 우려도 상존한다”며 “포스트 코로나19 시대로의 전환·이행이 본격화하면서 경제·사회 구조변화 대응의 시급성과 중요성도 더욱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덧붙였다. [비즈니스포스트 차화영 기자]
이억원 기획재정부 제1차관은 6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시·도경제협의회에서 “7월 한국판 뉴딜 1주년을 맞아 지난 1년 동안의 추진성과를 종합적으로 점검하고 뉴딜의 진화계획(한국판 뉴딜 2.0)을 발표하겠다”고 밝혔다.

▲ 이억원 기획재정부 제1차관. <기획재정부>
현재 한국판 뉴딜 정책은 디지털 뉴딜, 그린 뉴딜, 고용사회 안전망 강화 등 크게 3가지 축으로 구성돼 있다.
정부는 이 가운데 고용사회 안전망 강화 부분을 확대하고 청년층을 위한 다양한 교육 및 지원 프로그램을 마련하는 방안을 구상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차관은 균형발전 및 지역균형 뉴딜과 관련해서는 민간투자를 확대하겠다고 했다.
이 차관은 “지역균형 뉴딜은 추진 기반을 마련하는 데 힘쓰겠다”며 “지역별로 시그니처 사업의 체감 성과를 확산하고 벤처 등 민간투자를 확대해 자생적 투자 생태계를 조성할 것이다”고 말했다.
이 차관은 최근 경제상황과 관련해 “일반국민이 체감하는 민생경기는 여전히 엄중하다”며 “대면업종의 회복이 지체되고 있고 취약계층의 고용 충격과 코로나19로 심화한 각 부문별 격차는 여전히 지속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인플레이션, 가계부채 증가 등 경기 회복 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리스크와 관련한 우려도 상존한다”며 “포스트 코로나19 시대로의 전환·이행이 본격화하면서 경제·사회 구조변화 대응의 시급성과 중요성도 더욱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덧붙였다. [비즈니스포스트 차화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