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력이 3분기 전기요금 동결을 결정하면서 주식 투자심리도 악화할 것으로 전망됐다.
정혜정 KB증권 연구원은 22일 “3분기 전기요금을 동결하는 결정이 당분간 한국전력 주식의 투자심리를 악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된다”며 “2분기에 이어 3분기도 전기요금을 동결되면서 한국전력의 연간 수익성 악화도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고 바라봤다.
정 연구원은 한국전력의 목표주가와 투자의견은 제시하지 않았다.
21일 한국전력 주가는 직전거래일보다 6.88% 떨어진 2만5050원으로 거래를 끝냈다.
한국전력은 21일 산업부와 협의해 전기요금 연료비 연동제 시행을 보류하고 3분기 전기요금을 동결하기로 결정했다.
한국전력은 올해부터 전기요금을 국제유가와 LNG(액화천연가스), 석탄 등 구입가격의 등락을 반영해 책정하기로 했지만 2분기에 이어 3분기에도 연료비 연동제 시행이 미뤄졌다.
정 연구원은 “현국전력의 주가는 전기요금 연동제를 포함한 개편안이 제시된 2020년 말에 상승했지만 그 이후로 연료비 연동제 시행이 지연되면서 하락세로 전환됐다”며 “시장에서 한국전력 주식의 투자심리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전력생산 비용 등이 점진적으로 전기요금에 전가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 회복이 먼저 이뤄져야 될 것으로 판단된다”고 바라봤다.
게다가 한국전력에 반영되는 연료비는 1년 전보다 상승하면서 비용 증가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정 연구원은 내다봤다.
연료비 상승에 따라 한국전력의 연간 수익성도 악화될 것으로 예상됐다.
한국전력의 올해 3분기 전력 판매단가는 1kWh당 111.4원으로 예상됐다. 2020년 같은 기간보다 2.7% 줄어드는 것이다.
이에 따라 3분기 매출도 4124억 원가량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정 연구원은 “한국전력의 석탄 연료비단가는 국제 석탄 가격을 6개월, LNG(액화천연가스)연료비단가는 두바이 유가를 3~4개월 후행해 반영된다”며 “이런 점을 고려하면 호주 뉴캐슬 석탄 가격이 2020년 12월부터, 두바이 유가 2021년 2월부터 각각 1년 전보다 가격이 상승했다”고 분석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장은파 기자]
정혜정 KB증권 연구원은 22일 “3분기 전기요금을 동결하는 결정이 당분간 한국전력 주식의 투자심리를 악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된다”며 “2분기에 이어 3분기도 전기요금을 동결되면서 한국전력의 연간 수익성 악화도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고 바라봤다.

▲ 정승일 한국전력공사 사장.
정 연구원은 한국전력의 목표주가와 투자의견은 제시하지 않았다.
21일 한국전력 주가는 직전거래일보다 6.88% 떨어진 2만5050원으로 거래를 끝냈다.
한국전력은 21일 산업부와 협의해 전기요금 연료비 연동제 시행을 보류하고 3분기 전기요금을 동결하기로 결정했다.
한국전력은 올해부터 전기요금을 국제유가와 LNG(액화천연가스), 석탄 등 구입가격의 등락을 반영해 책정하기로 했지만 2분기에 이어 3분기에도 연료비 연동제 시행이 미뤄졌다.
정 연구원은 “현국전력의 주가는 전기요금 연동제를 포함한 개편안이 제시된 2020년 말에 상승했지만 그 이후로 연료비 연동제 시행이 지연되면서 하락세로 전환됐다”며 “시장에서 한국전력 주식의 투자심리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전력생산 비용 등이 점진적으로 전기요금에 전가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 회복이 먼저 이뤄져야 될 것으로 판단된다”고 바라봤다.
게다가 한국전력에 반영되는 연료비는 1년 전보다 상승하면서 비용 증가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정 연구원은 내다봤다.
연료비 상승에 따라 한국전력의 연간 수익성도 악화될 것으로 예상됐다.
한국전력의 올해 3분기 전력 판매단가는 1kWh당 111.4원으로 예상됐다. 2020년 같은 기간보다 2.7% 줄어드는 것이다.
이에 따라 3분기 매출도 4124억 원가량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정 연구원은 “한국전력의 석탄 연료비단가는 국제 석탄 가격을 6개월, LNG(액화천연가스)연료비단가는 두바이 유가를 3~4개월 후행해 반영된다”며 “이런 점을 고려하면 호주 뉴캐슬 석탄 가격이 2020년 12월부터, 두바이 유가 2021년 2월부터 각각 1년 전보다 가격이 상승했다”고 분석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장은파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