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협력사업에는 협동연구, 개발·구매 연계 외에 해외기업의 국내 투자와 해외 진출기업의 국내 유턴이라는 새로운 협력방식도 추가됐다.
정부는 이번 승인을 통해 기업수요에 맞춘 연구개발, 자금, 세제, 인력, 환경·노등 규제특례 등을 지원하게 된다.
사업추진을 통해 2025년까지 약 1400억 원의 민간투자와 약 500여 명의 신규고용 창출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정부는 △경기(반도체) △전북(탄소소재) △충북(2차전지) △충남(디스플레이) △경남(정밀기계) 등 5개 지역의 소재·부품·장비 특화단지에 관한 맞춤형 지원도 추진한다.
테스트베드(새로운 기술 등의 효과를 시험할 수 있는 환경, 시스템, 설비), 공동 연구개발 등을 통해 소재·부품·장비의 핵심인 수요·공급기업 사이 연계 강화에 중점을 두되 단지별 맞춤형으로 지원방안을 설계했다.
신설되는 경기 반도체단지는 전력·용수·폐수처리 등 기반시설 확충에 초점을 맞췄다. 전북 탄소단지는 공급기업과 수요기업 사이 공동 연구개발 등으로 수요를 발굴하는 데 주안점을 뒀다.
충북 2차전지단지는 32종의 테스트장비 등 실증기반 구축에 집중하기로 했다.
충남 디스플레이단지는 기업유치가 수월해지도록 토지이용특례, 부담금 감면, 규제자유특구 연계지원 등의 혜택이 주어지는 첨단투자지구 지정을 검토하기로 했다.
경남 정밀기계단지는 제조기술 고도화를 위한 인공지능 기반 초정밀 가공장비 개발 및 디지털 제조혁신을 중점 지원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홍 부총리는 “지금까지 소재·부품·장비 대책이 공급망 안정에 무게를 둔 5년 시계로 추진돼 왔다면 앞으로 미래 선도까지 고려한 5년 이상 시계로 확장해야 한다”며 “향후 이런 방향에서 대책을 더 폭넓게 추진하는 데 속도를 내겠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류근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