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불어민주당 당대표 경선에 출마한 홍영표(왼쪽부터), 송영길, 우원식 후보가 27일 서울 여의도 KBS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당대표 후보자 토론회에서 함께 손을 맞잡아 보이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
더불어민주당 당대표에 도전하는
송영길 우원식 홍영표 후보들이 개혁방향과 속도를 두고 미묘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부동산정책만 놓고 보더라도 '성난 부동산 민심'을 달래야 한다는 점에선 동일하지만 종합부동산세와 대출규제 완화를 둘러싸고 온도차가 엿보인다.
29일 더불어민주당 안팎의 말을 종합해보면 다음 당대표선거에서
송영길 후보가 약간 앞서거나 세 후보 모두 오차범위 안에서 접전을 벌이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민주당 대표를 두고
송영길 의원(인천 계양구을),
우원식 의원(서울 노원구을),
홍영표 의원(인천 부평구을)가 겨루고 있다(가나다 순서). 전당대회는 5월2일 열려 최종 승자가 결정된다.
세 후보는 모두 4·7재보선 참패에 따른 당쇄신과 개혁을 똑같이 강조한다. 하지만 개혁의 방향과 속도에서 차이가 엿보인다.
송 후보와 홍 후보는 부동산정책을 두고 온도차가 상대적으로 뚜렷하다.
송 후보는 정부의 부동산정책에 있어 '과감한' 변화가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키웠다.
그는 13일 한 라디오방송에 출연해 "최초로 자기 집을 사는 분양 무주택자에게는 주택담보대출비율(LTV)과 총부채상환비율(DTI)을 90%씩 확 풀어야 한다"고 제안했다. 젊은이들에게 LTV, DTI를 40%, 60%로 제한해 버리면 10억 원짜리 집을 산다고 했을 때 4억 원밖에 안 빌려줘 집을 살 수 없다는 것이다.
하지만 홍 후보는 '빚내서 집사라'고 해선 안 된다고 맞받았다.
홍 후보는 14일 KBS라디오 ‘최경영의 최강시사’에서 “대출규제 완화를 90%까지 하는 데 대해 동의하지 않는다”며 “또 다른 정책을 실행했을 때 나타날 수 있는 문제점은 없는지 살펴보고 해야 한다. 수정보완이 필요하나 90%까지 하는 것은 동의 못한다”고 말했다. 그는 다만 “청년들의 생애 첫 주택 구입하는 것과 관련된 대출이라든가 이런 것들은 재고해야 될 필요가 있다”고 덧붙엿다.
종합부동산세 완화를 놓고도 입장이 조금 달랐다.
홍 후보는 27일 서울 여의도 KBS에서 열린 당대표후보자 TV 토론에서 종부세 완화를 놓고 “그대로 유지해야 한다”고 말했다. 우 후보도 이 자리에서 “손 댈 필요가 없다”고 말했다.
송 후보는 “부과기준을 완화하는 데 반대한다”면서도 "장기보유와 연령 공제의 폭을 상향조정해야 한다"고 여지를 열어놓았다. 지금의 종부세도 고령자와 장기보유 공제가 70%에 이르는데 더 높이자는 것이다.
우 후보는 당내 부동산대책기구 설치 이외에 구체적인 정책방향을 제시하지 않고 있다.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양극화 등 대책을 긴급과제로 꼽으며 민생을 강조하고 있다.
부동산정책이 워낙 민감해 섣불리 방향을 제시하기보다 당 전체의 의견을 수렴해 결정해야 한다는 뜻으로 읽힌다. 일각에서는 민감한 현안을 피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왔다.
세 후보의 이런 모습은 4·7재보궐선거 패배의 원인을 다르게 진단한 결과라는 분석이 나온다.
송 후보는 부동산정책 등 개혁 추진에서 유연성이 부족해 중도층이 등을 돌렸다고 파악하고 있다는 것이다. 우 후보는 검찰개혁 등으로 피로감에 쌓이면서 민생현안에 소홀했다는 평가를 내린 것으로 보인다. 반면 홍 후보는 개혁 미진이 패배의 원인으로 보는 듯하다.
민주당 대표 선거 최종 득표율은 대의원 45%, 권리당원 40%, 일반국민 여론조사 10%, 일반당원 여론조사 5% 비율로 합산해 결정된다. 대의원과 권리당원 비중이 커서 이들의 표심이 중요하다.
대의원 표심은 3명의 후보에게 골고루 분산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송 후보는 5선, 우 후보와 홍 후보는 4선 의원으로 당내 영향력이 상당한 중진이다.
이 때문에 권리당원의 표심이 당락을 가를 핵심 변수로 꼽힌다. 권리당원은 중앙당에서 명부를 제공하지 않아 여론조사가 실시되지 않았기 때문에 선거 판세를 가늠하기 더욱 어렵다. 권리당원 대부분은 문 대통령의 지지자로 파악돼 ‘친문 표심’을 공략하는 것이 중요할 수밖에 없다.
민주당 관계자는 "세 후보는 각자 당심을 얻기 위해 마지막 노력을 다하고 있다"며 "당심이 '더 많고 빠른 변화'를 선택할지 '질서있는 변화'를 선택할지 고민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성보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