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가 삼성전자와 손잡고 국가재난안전통신 전국망을 구축했다.
KT는 삼성전자와 함께 전국 국토와 해상을 포괄하는 국가재난안전통신 전국망을 세계 최초로 구축했다고 26일 밝혔다.
재난안전통신망은 자연재해를 비롯한 각종 중대형 재난사고를 효율적으로 예방하고 대응하기 위해 정부 주도로 구축하는 차세대 무선통신망이다.
KT와 삼성전자는 2015년부터 국가재난안전통신 전국망 시범사업과 보강사업을 시작해 6년 만에 경찰, 소방, 국방, 철도, 지방자치단체 등 8개 분야 국가기관 333곳의 무선통신망을 하나로 통합했다.
KT와 삼성전자가 구축한 국가재난안전통신망은 최악의 재난상황에서도 구호활동을 지원할 수 있도록 다중통신망 구조와 기술이 적용됐다.
망 관제센터는 서울과 대구, 제주로 삼원화했고 각 국사의 장비도 이중화해 특정 장비에 장애가 발생해도 다른 장비를 통해 통신망이 중단되는 일 없이 운용할 수 있다.
또 최대 단말기 2500대의 실시간 통신을 지원한다. 이는 단말기 연결 한계가 1200대였던 기존 방식보다 2배 이상 많은 것이다.
KT는 앞으로 사물인터넷(IoT)을 활용한 지능형 재난감시시스템, 5G 기술을 활용한 원격 의료 및 구난활동 등 재난안전 네트워크를 지속적으로 발전시키겠다는 계획을 세워뒀다.
김준호 KT엔터프라이즈부문 공공금융고객본부장은 “KT는 정부 재난구조와 치안 등 공공업무의 디지털 전환과 혁신을 지원하고 국가재난안전통신 전국망의 안정적 운용과 발전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김승일 삼성전자 네트워크사업부 한국BM그룹 상무는 “재난안전통신망 도입으로 데이터 바탕의 빠르고 정확한 구난활동을 지원해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는 데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박혜린 기자]
KT는 삼성전자와 함께 전국 국토와 해상을 포괄하는 국가재난안전통신 전국망을 세계 최초로 구축했다고 26일 밝혔다.

▲ KT 직원들이 국가재난안전통신망 기지국 장비를 점검하고 있다. < KT >
재난안전통신망은 자연재해를 비롯한 각종 중대형 재난사고를 효율적으로 예방하고 대응하기 위해 정부 주도로 구축하는 차세대 무선통신망이다.
KT와 삼성전자는 2015년부터 국가재난안전통신 전국망 시범사업과 보강사업을 시작해 6년 만에 경찰, 소방, 국방, 철도, 지방자치단체 등 8개 분야 국가기관 333곳의 무선통신망을 하나로 통합했다.
KT와 삼성전자가 구축한 국가재난안전통신망은 최악의 재난상황에서도 구호활동을 지원할 수 있도록 다중통신망 구조와 기술이 적용됐다.
망 관제센터는 서울과 대구, 제주로 삼원화했고 각 국사의 장비도 이중화해 특정 장비에 장애가 발생해도 다른 장비를 통해 통신망이 중단되는 일 없이 운용할 수 있다.
또 최대 단말기 2500대의 실시간 통신을 지원한다. 이는 단말기 연결 한계가 1200대였던 기존 방식보다 2배 이상 많은 것이다.
KT는 앞으로 사물인터넷(IoT)을 활용한 지능형 재난감시시스템, 5G 기술을 활용한 원격 의료 및 구난활동 등 재난안전 네트워크를 지속적으로 발전시키겠다는 계획을 세워뒀다.
김준호 KT엔터프라이즈부문 공공금융고객본부장은 “KT는 정부 재난구조와 치안 등 공공업무의 디지털 전환과 혁신을 지원하고 국가재난안전통신 전국망의 안정적 운용과 발전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김승일 삼성전자 네트워크사업부 한국BM그룹 상무는 “재난안전통신망 도입으로 데이터 바탕의 빠르고 정확한 구난활동을 지원해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는 데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박혜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