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 교육부 관계자들의 말을 종합하면 유 장관은 디지털뉴딜을 이끌어갈 인재를 널리 키워 내면서도 지역균형발전을 함께 꾀하고 있다.
교육부는 2월24일 정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디지털뉴딜의 일환으로 '디지털 신기술 인재양성 혁신공유대학 기본계획'을 발표했다.
디지털 혁신공유대학은 대학 사이의 협업을 통해 신기술 관련 역량을 키울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이다. 특히 특정 대학을 골라 지원하던 기존 방식과 달리 수도권 대학과 지방 대학이 협업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유 장관은 2월24일 열린 사회관계장관회의에서 "디지털혁신공유대학사업을 통해 대학 사이의 경쟁에서 공유와 협력으로 패러다임을 전환하고 지역 사이, 대학 사이 역량 차이를 뛰어넘어 학생의 성장을 함께 지원하는 고등교육 생태계를 조성하겠다"고 말했다.
교육부는 그동안 주로 대학, 전문대학, 훈련기관, 민간기관 등 기관별로 특정사업을 진행해 왔다. 반면 디지털혁신공유대학은 비수도권과 수도권지역의 대학들을 연계한다는 점에서 기존의 방식과 구분된다.
디지털뉴딜은 문재인 정부가 2020년 7월14일 발표한 한국판 뉴딜사업의 한 축이다. 데이터, 네트워크, 인공지능(D.N.A) 등 디지털 신기술을 바탕으로 국가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각 정부 부처가 역할을 나눠 관련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앞서 문재인 대통령은 2020년 7월16일 제21대 국회 개원식에서 "디지털시대, 그린혁명시대로 성공적 전환을 위해 사람 투자를 확대하겠다"며 "인재양성과 직업훈련체계를 강화하고 디지털격차 해소를 위한 투자에 특히 역점을 두겠다"고 말했다. 디지털뉴딜을 실현하기 위해서는인재양성이 뒷받침돼야 한다는 것이다.
유 장관은 문 대통령이 제기한 '디지털시대의 인재양성'을 디지털혁신공유대학을 통해 실현하려 한다. 교육부는 디지털혁신공유대학을 통해 디지털 신기술 핵심인재 10만 명을 양성하려는 계획을 세웠다. 율곡 이이의 '십만 양병설'을 떠올리게 하는 대목이다.
혁신공유대학 연합체는 수도권과 지방대학으로 구성되며 앞으로 신기술 분야의 교원, 교육 콘텐츠, 시설, 기자재 등 여러 대학에 흩어져 있는 자원들을 공동으로 활용한다.
교육부는 계획 발표 이틀 뒤인 2월26일부터 사업공고를 시작했고 선정평가 과정을 거쳐 4월 안에 참여대학 컨소시엄을 확정한다.
교육부는 각 연합체를 4~7개 대학으로 구성하며 수도권 소재 대학과 비수도권 소재 대학의 비율이 각각 40% 이상이 되도록 한다는 선정기준을 세웠다. 상대적으로 역량이 떨어지는 비수도권 대학을 한둘 끼워넣는 '무늬만 연합'이 되지 않도록 하겠다는 것이다.
교육부의 대학 선정은 지역균형발전을 고려해 이뤄질 공산이 크다. 교육부가 지역경제 발전을 위해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사업(RIS)'을 추진하고 있으며 혁신공유대학 지정은 일자리 창출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미래 신산업은 비수도권과 수도권의 지역 사이 격차가 벌어지고 있어 비수도권에서도 고급인재를 양성해야 한다는 지적이 꾸준히 나오고 있다.
한국경제지리지학회가 2020년 6월 발표한 '신산업의 공간분포 패턴과 집적요인에 관한 연구'를 살펴보면 미래차, 시스템반도체, 바이오 등 신산업은 수도권을 중심으로 매우 불균등하게 분포돼 있다.
학회는 신산업이 수도권을 중심으로 매우 불균등하게 성장한다면 지역경제를 침체시킬 수 있으며 지역 차원에서 고급인재를 육성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이런 연구결과 등을 바탕으로 교육부는 비수도권지역의 신산업분야 인재를 육성해 지역을 발전시키는 데 혁신공유대학을 활용하려 한다. 유 장관은 혁신공유대학 정책을 통한 지역인재 양성이 비수도권지역의 일자리 창출로 이어질 것이라 기대하고 있다.
교육부 관계자는 16일 비즈니스포스트와 통화에서 "지역에 있는 대학들이 신기술 분야와 관련해서 교육자원이나 인프라가 부족해서 수도권 대학과 같이 연합체를 구성하도록 만든 것"이라며 "전체적으로 지역발전에도 도움이 되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진선희 기자]